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상징 육교 건립 기본계획 연구용역
수탁

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상징 육교 건립 기본계획 연구용역

기간
2013. 05. 02 ~ 2013. 12. 27
연구책임자
박철희
연구자
이충훈,이인배,권영현,김경태,권미정,유예나
키워드
공주,국고개,역사문화,문화거리,상징육교,디자인계획,다리건립,도시재생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공주 국고개 문화거리 상징 육교 건립 기본계획 연구용역_관리자_20160701_공주 국고개 다리 건립 기본계획_내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 국고개 다리 건립 기본계획은 공산성과 중동성당 충남역사박물관 등 공주의 역사문화자산을 연결해 단절된 도시맥락을 회복하고 문화관광자원 간 연계를 강화하려는 목적으로 수립되었다 계획은 역사문화경관 측면을 고려한 연결로 조성의 타당성을 확보하고 다리 설치를 위한 기본 설계 방향을 제시한다
국고개 일원은 과거 지맥 단절로 역사적 정체성이 약화된 지역이며 중동성당과 충남역사박물관을 연결하는 상징적 공간축 형성이 필요하다 대상지는 문화재보호구역 및 고도보존지역에 인접해 문화재 현상변경 허가 등 법적 검토도 병행되었다
입지 조건은 남북으로 고저차가 존재하며 경사도 크고 도로로 단절된 구조로 인해 보행 연결성이 부족하다 문화거리로 조성된 웅진로 주변 경관은 정비되어 있으나 시각적 포인트가 부족하여 랜드마크형 경관 연계 시설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다리 건립 위치는 중동성당과 역사박물관 사이 도로 구간으로 설정되었으며 경사표고향 등을 반영한 2개 대안 위치와 4개의 구조 형식이 제시되었다 구조 형식은 경간 시공성 문화재 영향 등을 기준으로 검토되었고 목재 또는 경량구조 중심의 보행교가 검토안에 포함되었다
국내외 유사 사례 조사 결과 친환경 재료와 경관 통합형 디자인이 지역 정체성 회복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주 역시 지역 상징성과 이용성을 함께 확보하는 다리 디자인이 요구된다 경주 월정교 독일 Essing Bridge 일본 요쿠라대교 등의 사례가 벤치마킹 대상으로 분석되었다
최종적으로 다리는 단순한 이동 수단을 넘어서 문화거리와 경관자원을 연결하는 핵심 경관축 역할을 수행하게 되며 조명계획 바닥재 디자인 구조 안정성 등을 포함한 기본구상이 도출되었다 향후 공사는 문화재 영향평가와 법적 인허가 절차를 거쳐 추진될 예정이다

목차

I 계획의 개요
1 계획배경 및 목적
계획배경
계획목적
2 계획성격 및 범위
계획성격
계획범위
3 계획 수행체계 및 절차
수행체계
추진절차
II 현황여건 및 사례조사 분석
1 대상지 현황분석
입지여건
표고 경사 향
경관분석
법제도
주변 역사문화자원
2 관련계획 검토
공주디자인 예술고을 도시기본구상
공주고도 도시재생 마스터플랜
공주 고도보존계획200912
3 관련법규 검토
문화재보호법
고도보존법
도로법 도로의 구조시설 기준에 관한 규칙
4 사례조사 및 분석
조사개요
국외사례
국내사례
조사종합 및 시사점
III 기본구상
1 계획수립의 기본방향 및 원칙
계획수립 기본방향
디자인 기본원칙
2 배치계획의 주안점
3 건립 위치 대안설정 및 구조검토
건립위치 대안설정
구조형식 검토
4 디자인 컨셉 설정 및 검토
IV 기본계획
1 기본 평면계획
2 기본 입면 대안 검토
3 건립 계획안 검토
다리 계획 1안
다리 계획 2안
4 최종 계획안
배치계획
지붕 및 기준층 평면계획
입면계획
단면계획
V 사업추진방안
1 추진방안
2 관리방안
VI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