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2003년 국내에서 처음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는 축산농가 뿐 만 아니라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입혔으며 이후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음
AI 바이러스의 국가 간 유입에 대해서는 이동철새와 감염된 가금류 닭 오리 등의 이동 사람 수출입 물품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며 다만 국가내의 빠른 확산은 감염된 가금류의 이동이 원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국내 AI 발병의 특성은 반복적이며 중복적인 발병과 통제선 밖의 빠른 확산 야생조류의 AI 폐사 사례 증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방 및 사전 모니터링에 중점을 둔 AI 관리 체계 정비 필요성과 철새 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음
AI 예방은 농가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며 23중의 병원病原차단벽 형성과 더불어 구체적이며 세분화되어야 함
모니터링의 경우 그룹별 지역별 위험요소별로 구분하여 다원적 으로 이뤄져야 하며 중복 발생한 위험농가에 대해서는 출하허가제 실시도 검토해야 함
AI 확산 방지와 철새 보호를 위해 철새의 AI 확산에 대한 역할을 우선 밝힘과 동시에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조치도 시행 되어야 함
이후 생략
AI 바이러스의 국가 간 유입에 대해서는 이동철새와 감염된 가금류 닭 오리 등의 이동 사람 수출입 물품 등 여러 가지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아직 뚜렷하게 밝혀진 것은 없으며 다만 국가내의 빠른 확산은 감염된 가금류의 이동이 원인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임
국내 AI 발병의 특성은 반복적이며 중복적인 발병과 통제선 밖의 빠른 확산 야생조류의 AI 폐사 사례 증가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예방 및 사전 모니터링에 중점을 둔 AI 관리 체계 정비 필요성과 철새 관리의 중요성을 알 수 있음
AI 예방은 농가 중심으로 이뤄져야 하며 23중의 병원病原차단벽 형성과 더불어 구체적이며 세분화되어야 함
모니터링의 경우 그룹별 지역별 위험요소별로 구분하여 다원적 으로 이뤄져야 하며 중복 발생한 위험농가에 대해서는 출하허가제 실시도 검토해야 함
AI 확산 방지와 철새 보호를 위해 철새의 AI 확산에 대한 역할을 우선 밝힘과 동시에 이들의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조치도 시행 되어야 함
이후 생략
목차
1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하여
2 국내 AI 발병 특성을 통해서 본 AI 관리 문제점
3 AI 관리 및 개선방안
부록 AI 관련 자주 묻는 질문과 답
2 국내 AI 발병 특성을 통해서 본 AI 관리 문제점
3 AI 관리 및 개선방안
부록 AI 관련 자주 묻는 질문과 답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옥식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금강하구생태복원 세미나(CNI2017-079) (최영래,박진순,이나무,김태인,정옥식,이창희) 2017. 07. 12
한국유기농업학회 2018년 공동학술세미나(CNI세미나2018-006)(이관률,권순직,정옥식,김성환,김훈,김태연) 2018. 02. 20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