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최근 다기능 농업이 내발적endogenous 농업농촌의 발전모델로 주목받고 있고 농가의 소득증대에 결정적 기여를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도 다기능 농업을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큼
[기본원칙] 다기능 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농업을 재편 심화 확대의 순환구조로 전환시켜야 하고 인근 농가와 역할 분담과 연계를 하는 기능적 분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세부추진전략] 다기능 농업을 추진하기 위해 재편에서는 친환경 농업의 육성 농촌경관 및 역사문화의 보호 다양하고 세분화된 농촌개발이 추진되어야 함 그리고 확대에서는 농가 직판활동의 활성화 농가 및 마을수준의 수제가공의 활성화 다품목다품종 생산시스템으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 끝으로 심화에서는 농촌 경관의 창출 농촌관광 기능의 융복합화 특별한 농촌먹거리 개발 새로운 분야의 농촌관광 영역 개척 농촌관광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운영 등이 이루어져야 함
이후 생략
목차
2 왜 다기능 농업인가
3 다기능 농업 어떻게 활성화 하나
4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현희
충남 농업6차산업분야 지역자원 활용 및 확대 방안 1.2차 연구회 (정현희,권오성,이관률,김영수) 2016. 08. 25
외식업 로컬푸드 인정사업 제1회 워크숍 (윤유경,윤혜신,박찬일,정현희) 2012. 04. 24
6차산업정책포럼: 공공급식 2016. 10. 06
6차산업정책포럼: 지속가능한6차산업화정책 (박상식) 2016. 06. 23
6차산업화정책포럼: 농업의 재편 2016. 12. 07
충남리포트-(제284호) 충남 6차산업 성과 분석과 확대 방안 2017. 12. 05
-
이관률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예산군 지역순환형 농업발전전략을 위한 정책토론회(김수구,이관률) 2012. 03. 23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금산 아토피치유마을 활성화 정책세미나_금산군 시군정책협력단(손창규,이관률) 2015. 12. 10
충남도 산림녹지분야 정책발굴을 위한 세미나(김통일,이관률,최영규) 2015. 11. 26
-
허남혁
충남 <지역순환 농식품체계와 로컬푸드 연구회> 제8회 워크숍(허남혁) 2012. 02. 10
2011 행복 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 연구보고 및 제안대회 (여형범,오용준,조영재,임준홍,허남혁,신동호) 2011. 12. 13
열린충남56호 2011. 09. 01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2011년 해외출장보고서 통합본 2011. 01. 01
충청권로컬푸드 지역 모임교류회 8차 워크숍 (허남혁,하재찬) 2012. 02. 10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