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리포트-103호-다기능 농업을 활성화 하자!
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103호-다기능 농업을 활성화 하자!

기간
2014. 03. 06 ~ 2014. 03. 06
연구자
이관률,허남혁,정현희
키워드
103호,다기능,농업
다운로드

2014-다기능 농업을 활성화 하자-이관률, 정현희, 허남혁.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다기능 농업은 농업의 외부효과를 활용하여 농업과 다른 서비스를 하나 이상 제공하는 것을 의미함 이러한 다기능 농업은 농업과 농촌발전에 있어 경제적 사회적 환경적으로 매우 큰 영향을 미침 특히 다기능 농업은 농업의 상품화는 물론 새로운 기업가적 활동을 통해 농가의 이익을 높이고 있음
최근 다기능 농업이 내발적endogenous 농업농촌의 발전모델로 주목받고 있고 농가의 소득증대에 결정적 기여를 한다는 측면에서 볼 때 우리나라도 다기능 농업을 활성화해야 할 필요성이 매우 큼
[기본원칙] 다기능 농업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우선 농업을 재편 심화 확대의 순환구조로 전환시켜야 하고 인근 농가와 역할 분담과 연계를 하는 기능적 분업이 이루어져야 할 것임
[세부추진전략] 다기능 농업을 추진하기 위해 재편에서는 친환경 농업의 육성 농촌경관 및 역사문화의 보호 다양하고 세분화된 농촌개발이 추진되어야 함 그리고 확대에서는 농가 직판활동의 활성화 농가 및 마을수준의 수제가공의 활성화 다품목다품종 생산시스템으로 전환이 이루어져야 함 끝으로 심화에서는 농촌 경관의 창출 농촌관광 기능의 융복합화 특별한 농촌먹거리 개발 새로운 분야의 농촌관광 영역 개척 농촌관광의 교육 및 훈련프로그램 운영 등이 이루어져야 함
이후 생략

목차

1 다기능 농업이란
2 왜 다기능 농업인가
3 다기능 농업 어떻게 활성화 하나
4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