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인구 저성장을 넘어 인구감소 시대로 접어들다 우리나라의 인구는 2030년을 충남은 2039년을 정점으로 감소 하지만 충남 농촌 지역의 868는 이미 인구가 감소하고 있음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인구격차는 더욱 심화되어 균형발전 및 수도권 규제는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7년 수도권 인구는 비수도권을 추월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격차가 심화됨
2039년까지 충남의 인구는 성장하지만 이는 수도권 인접지역과 대도시인 대전에 인접한 일부 지역에서 나타날 뿐이고 대부분 지역들은 인구가 감소한다 2040년까지 총 199개 읍면동 중 829 지역에서 특히 농촌 지역인 128개 면지역 중 941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함 이 중 754는 2010년 대비 인구가 14 이상 감소하고 농촌 지역의 868는 지금보다 13 이상 감소함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충남 역시 이미 인구감소기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인구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개발이 요구된다 균형발전정책과 수도권규제는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지역 간도시 내 격차는 공간복지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함 도시 지역은 개발보다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농촌 지역은 공공서비스의 효율화와 마을 재편에 집중하여야 함 고령화는 충남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며 이에대한 각별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됨
이후 생략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인구격차는 더욱 심화되어 균형발전 및 수도권 규제는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2017년 수도권 인구는 비수도권을 추월하고 이후 지속적으로 격차가 심화됨
2039년까지 충남의 인구는 성장하지만 이는 수도권 인접지역과 대도시인 대전에 인접한 일부 지역에서 나타날 뿐이고 대부분 지역들은 인구가 감소한다 2040년까지 총 199개 읍면동 중 829 지역에서 특히 농촌 지역인 128개 면지역 중 941 지역에서 인구가 감소함 이 중 754는 2010년 대비 인구가 14 이상 감소하고 농촌 지역의 868는 지금보다 13 이상 감소함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충남 역시 이미 인구감소기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특히 인구격차 완화를 위한 정책개발이 요구된다 균형발전정책과 수도권규제는 더욱 강화되어야 하며 지역 간도시 내 격차는 공간복지 차원에서 접근되어야 함 도시 지역은 개발보다 도시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도시재생으로 농촌 지역은 공공서비스의 효율화와 마을 재편에 집중하여야 함 고령화는 충남이 안고 있는 가장 큰 문제 중의 하나이며 이에대한 각별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됨
이후 생략
목차
1 인구 저성장을 지나 감소시대로
2 충남의 인구 현황과 특성
3 충남의 읍면동 인구 추계
4 인구격차 심화에 따른 정책과제
2 충남의 인구 현황과 특성
3 충남의 읍면동 인구 추계
4 인구격차 심화에 따른 정책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준홍
도시재생과 재원확보 그리고 크라우드펀딩(CNI세미나2017-080) (이재우, 임준홍,김지훈) 2017. 07. 06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아산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한 도시재생방안 모색 워크숍(김륜희, 임준홍) 2016. 06. 24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전문가 세미나(임준홍,홍병곤) 2015. 12. 04
지방도시 인구감소 대응 정책에 대한 한일 국제세미나(CNI세미나2017-132) (임준홍,Nobuhiko KOMAKI) 2017. 10. 24
-
홍성효
2012 전국 사회적경제 한마당 학술포럼 (임준홍,이은애,홍성효,송두범,이강익,김종수,박상우,구동관,이상구,정태하,최태영,오카야스 기사부로,문보경,김정원,조성은,엄재영,이병학,양정열,정희석,박강태,정은희,조성 2012. 09. 06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지방 중소규모 산업단지조성관련 정주환경 수요분석 2012. 06. 07
도내 산업단지 종사자 근무 및 정주환경 실태조사 결과분석 2011. 09. 09
충청남도 해외사무소 유용성 분석연구 2012. 04. 02
(주)HST 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아산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2011. 0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