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충남도와 허베이성 간 자매결연 20주년을 맞이하여 오는 12월 초 양 지역은 허베이성 성도인 스자좡시石家庄市에서 기념행사를 갖기로 합의하고 다양한 분야의 교류활동을 준비하고 있음
이번 행사는 그간 20년간의 교류활동을 돌아보고 충남도와 허베이성이 향후 포괄적 교류협력의 동반자로 나아가기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한 행사 기간에는 양 지역 도성장 및 대표단의 참석뿐만 아니라 양 지역의 다양한 단체가 MOU를 체결하고 향후 친밀한 교류를 이어나갈 계획임
이 글에서는 충남도와 허베이성의 자매결연 20주년을 맞아 그간 양 지역의 교류협력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충남도와 허베이성 각 교류협력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여기서 제안하는 주요 교류협력사업의 방향으로는 충남과 중국허베이성의 핵심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3농혁신을 매개로 한 농업농촌교류협력사업 최근 들어 악화되고 있는 각종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생태교류사업 백제문화의 기원을 매개로 한 중국한국일본 간 문명과 평화를 잇는 동북아 문명탐원探源 교류협력사업 항일운동의 중심지였던 두 지역 간 항일독립운동을 매개로 한 역사교류협력사업 등임
이후 생략
이번 행사는 그간 20년간의 교류활동을 돌아보고 충남도와 허베이성이 향후 포괄적 교류협력의 동반자로 나아가기 위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음 또한 행사 기간에는 양 지역 도성장 및 대표단의 참석뿐만 아니라 양 지역의 다양한 단체가 MOU를 체결하고 향후 친밀한 교류를 이어나갈 계획임
이 글에서는 충남도와 허베이성의 자매결연 20주년을 맞아 그간 양 지역의 교류협력 현황과 성과를 살펴보고 향후 충남도와 허베이성 각 교류협력사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함
여기서 제안하는 주요 교류협력사업의 방향으로는 충남과 중국허베이성의 핵심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3농혁신을 매개로 한 농업농촌교류협력사업 최근 들어 악화되고 있는 각종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환경생태교류사업 백제문화의 기원을 매개로 한 중국한국일본 간 문명과 평화를 잇는 동북아 문명탐원探源 교류협력사업 항일운동의 중심지였던 두 지역 간 항일독립운동을 매개로 한 역사교류협력사업 등임
이후 생략
목차
1 충청남도 대중국 교류협력의 교두보 허베이성
2 허베이성 기본 현황
3 양 지역 간 교류협력의 성과와 아쉬움
4 양 지역 상호발전을 위한 교류협력 방향 제안
5 향후 과제
2 허베이성 기본 현황
3 양 지역 간 교류협력의 성과와 아쉬움
4 양 지역 상호발전을 위한 교류협력 방향 제안
5 향후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