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외환위기 이후의 한국의 복지정치
기본

외환위기 이후의 한국의 복지정치

기간
2014. 01. 01 ~ 2015. 12. 31
연구책임자
김용현
키워드
외환위기,사회,복지,복지국가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외환위기 이후의 한국의 복지정치_관리자_20160219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1년 8월 서울시의 무상급식 주민투표 전후로 복지 또는 복지국가 이슈는 한국사회에서 가장 중심적인 정치적 사회경제적 쟁점으로 떠올랐다 최근 정치권에서 쏟아지는 복지담론을 보면 가히 복지의 백화제방이라 할 만하다 2012년 12월 대통령 선거이후에는 당선자에게 지지자들이 선거공약을 현실화하라는 요구가 있을 정도로 선거 때는 의례히 복지공약을 부풀려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는 경향도 있다 그러나 역설적이게도 우리나라에서 복지는 신자유주의가 세계적으로 이념적 우위를 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우리사회의 최대쟁점이 되었다 더욱이 2008년 세계금융위기이후 정부재정의 긴축 여부가 논쟁의 중심에 놓인 시기에 한국에선 정부재정의 확대 여부가 논의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시기에 대한 의문은 우리나라 정치사 측면에서도 87년 민주화이후 혹은 97년 정권교체나 2002년 참여정부가 아니라 왜 2010년 이후에서야 복지 논의가 핵심쟁점으로 떠올랐는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한다
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se why welfare discourse is becoming one of the hottest issues in Korea First the thesis will examine the changing roles of states ranging from the birth of states to the birth of welfare stats in Western Europe Next it will study the reality of social welfare in Korea comparing the welfare system of Korea after its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to that of Western Europe It can be said that welfare states in the Western Europe were born as a result of a class compromise between capital and labor after the rise of nation states and industrialization Korea as a state however made ceaseless efforts to prevent the working class from taking political power The working class with political power is the prerequisite of welfare development Modern states in Western Europe had the Januslike character of oppressing and extorting working classes while giving more benefits to them at the same time However things were different in Korea The state went through changes from an overdeveloped state to a developing state to an authoritarian state and to a procedural democratic country During the period of such changes the state continued to work as a repression mechanism against democratization Welfare politics cant be born in such a state The reason why a welfare state has become one of the hottest political social and economic issues in Korea can be found in thos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state The thesis will explore the future direction of the poorly developed welfare system of Korean based on them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논의 국가의 기능변화와 사회복지
III 과대성장국가에서 복지국가로 장기거시적 변화
IV 한국 국가의 왼손의 성장과 발전 단기미시적 변화
V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