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농촌마을 다기능 농업 어메니티 유형별 사용자 선호도 평가
기본

농촌마을 다기능 농업 어메니티 유형별 사용자 선호도 평가

기간
2014. 02. 28 ~ 2014. 12. 31
연구책임자
정현희
키워드
농촌마을,농촌,어메니티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농촌마을 다기능 농업 어메니티 유형별 사용자 선호도 평가_관리자_20160320_[최종보고서]농촌마을 다기능 농업 어메니티 유형별 사용자 선호도 평가_정현희_20160225_농촌마을 어메니티 자원의 속성별 가치 평가 -농촌다움의 가치평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This study strengthens importance of farm land has possessed rurality Thus the amenities of farm village were offered to the symbolical attributes of rurality and it was extracted four amenities attributes for valuing the amenities Possessing the importance of rurality for agricultural and rural development and rural tourism evaluated each attribute by Choice ExperimentCE for sustainable development make full use of rurality Applying for ConditionalLogit model estimated the value of attributes then consumers benefit feeling form each attributes was offered to the value of a unit change Through this study I wish to apply for the direction of rural development as important material and the compensation in the operation of agricultural output offering social benefit as political reference materials
I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1995년 WTOWorld Trade Organization가입 이후 한칠레 FTAFree Trade Agreement2006 한미 FTA2007 한EU FTA2011 한중 FTA2014 그리고 내년 1월 발효를 앞둔 한캐나다 FTA2015까지 타결 완료하였다 또한 일본 미국 호주를 포함하는 TPP TransPacific Partnership까지 협상 중에 있어 농산물 개방화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있는 추세이며 농가의 피해가 예상되는 시점이다
정부와 자치단체는 이러한 개방화 시대에 농가 경쟁 력향상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최근까지 마을기 업 향토산업육성 체험마을 그리고 로컬푸드Local Food 및 6차산업화정책들이 농가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들로 추진되고 있다 이들 농업 정책들은 농산물 판매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농촌자원을 활용하고자 하는 데에 있어 공통점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농촌의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으로 지금까지 존재가치가 부각되지 않았던 농촌마을의 어메니티Amenity의 가치를 추정하고자 한다 근본적으로 농촌개발 프로그램이 지속적이고 유지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전개될 수 있도록 농촌마을이 가지고 있는 대표 어메니티를 분류하고 가치를 평가하며 어떠한 어메티티가 매력적인 상품이 될 수 있는지를 평가하고 보전하여 상품의 가치를 더욱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 연구를 바탕으로 농촌 마을의 어메니티를 분류하고 대표적 속성들을 추출하며 지금까지 외생적Externality 가치 혹은 다원적Multifunctionality of Agriculture 가치만 인정되고 경제적 가치 로서 인정되지 않았던 농촌마을의 어메니티 가치를 추정 하여 경제 가치로서 보전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도출할 것이다

목차

I 서 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이론고찰
가 어메니티의 경제적 가치평가 연구
나 농촌 어메니티의 지표개발 관련 주요연구
다 분석방법 관련 연구
II 농촌마을 어메니티 속성 추출
1 농촌마을 대표 속성 분류 및 추출
2 가치추정을 위한 농촌마을 어메니티
III 분석방법
1 설문조사
가 1단계설문조사
나 설문지 선택조합의 설계
다 2단계 설문조사
2 어메니티 가치평가 모형Methodology
IV 분석결과
1 표본의 일반적 특성
2 어메니티 속성별 가치 평가
3 지불의사 분석
V 결 론
References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