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제2금강교 및 세종시 연결도로는 세종시와 백제역사문화권을 연계하고 노후된 금강교의 안전 문제를 해결하며 중부권 생태환경시설 접근성과 국도 간 미연결 구간 해소를 목적으로 건설이 추진된다 현재 금강교는 구조적 안전성이 확보되지 않아 통행 제한이 있으며 교통량 증가에 따른 기능 저하가 우려된다
미시적거시적 교통분석 결과 장래 교통수요는 약 22000대일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4차로 일반국도의 용량 수준에 부합하는 서비스 수준 C로 평가되었다 건설 시 백제큰다리와 공주대교의 교통량이 분산되어 대기행렬은 42 지체시간은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막교차로의 혼잡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은 총 22km 구간으로 12km는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 04km는 정비 06km는 신설 교량으로 구성된다 본 노선은 공주시와 세종시뿐만 아니라 부여군까지 교통량에 영향을 미쳐 광역적 교통축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분석된다 RV 분석 기법을 통해 공주시 세종시 부여군이 직접 영향권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측면에서 편익은 2020년 기준 연간 369억 원 2030년 370억 원으로 추정되며 주요 항목은 통행시간 절감과 차량운행비용 절감이다 반면 총 사업비는 673억 원부가세 제외으로 추산되었고 BC 비율은 065 순현재가치는 184억 원으로 경제성은 낮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필요성과 광역 교통 효과가 강조되었다
노후교량인 금강교는 구조적 손상과 안전점검 미흡으로 붕괴 위험이 크며 과거 성수대교 붕괴 사례와 유사한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어 새로운 교량 건설의 당위성이 부각된다 또한 인근 산업단지 및 개발계획에 따른 물류 및 인구 이동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제2금강교 및 세종시 연결도로는 교통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교통안전 및 효율성을 확보하며 지역 간 연계 강화를 위한 필수 기반시설로 제시되며 비록 경제적 타당성은 낮지만 사회적 필요성과 광역 연계 효과 측면에서 건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미시적거시적 교통분석 결과 장래 교통수요는 약 22000대일 수준으로 분석되었고 4차로 일반국도의 용량 수준에 부합하는 서비스 수준 C로 평가되었다 건설 시 백제큰다리와 공주대교의 교통량이 분산되어 대기행렬은 42 지체시간은 40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막교차로의 혼잡 해소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전망된다
사업은 총 22km 구간으로 12km는 2차로에서 4차로로 확장 04km는 정비 06km는 신설 교량으로 구성된다 본 노선은 공주시와 세종시뿐만 아니라 부여군까지 교통량에 영향을 미쳐 광역적 교통축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분석된다 RV 분석 기법을 통해 공주시 세종시 부여군이 직접 영향권에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측면에서 편익은 2020년 기준 연간 369억 원 2030년 370억 원으로 추정되며 주요 항목은 통행시간 절감과 차량운행비용 절감이다 반면 총 사업비는 673억 원부가세 제외으로 추산되었고 BC 비율은 065 순현재가치는 184억 원으로 경제성은 낮게 나타났으나 사회적 필요성과 광역 교통 효과가 강조되었다
노후교량인 금강교는 구조적 손상과 안전점검 미흡으로 붕괴 위험이 크며 과거 성수대교 붕괴 사례와 유사한 위험요소를 내포하고 있어 새로운 교량 건설의 당위성이 부각된다 또한 인근 산업단지 및 개발계획에 따른 물류 및 인구 이동 증가를 수용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결론적으로 제2금강교 및 세종시 연결도로는 교통수요 증가에 대응하고 교통안전 및 효율성을 확보하며 지역 간 연계 강화를 위한 필수 기반시설로 제시되며 비록 경제적 타당성은 낮지만 사회적 필요성과 광역 연계 효과 측면에서 건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목차
I 분석 개요
1 추진배경
금강교의 과거 현재 미래의 기능적 역할
금강교의 역사문화사회경제적 기능
2 분석 절차
3 사업 개요
II 교통수요 추정
1 교통수요예측 개요
분석 기초자료의 구성
교통수요 분석절차
2 분석 범위와 수준 설정
시간적 범위 설정
공간적 범위 설정
3 분석 기초자료의 수정
분석 기초자료 수정
장래 도로 및 개발계획 반영
4 수단선택 및 통행배정
수단선택
평균재차인원 및 승용차 환산계수
교통량지체함수VDF
5 장래 교통수요 추정
III 건설 필요성
1 교량 붕괴에 따른 사회적 불안감 해소
2 전막교차로 지정체 해소
3 광역적 연계 및 소통기능 확보
IV 경제적 타당성
1 편익 산출 결과
2 비용 산출 결과
3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자료
1 추진배경
금강교의 과거 현재 미래의 기능적 역할
금강교의 역사문화사회경제적 기능
2 분석 절차
3 사업 개요
II 교통수요 추정
1 교통수요예측 개요
분석 기초자료의 구성
교통수요 분석절차
2 분석 범위와 수준 설정
시간적 범위 설정
공간적 범위 설정
3 분석 기초자료의 수정
분석 기초자료 수정
장래 도로 및 개발계획 반영
4 수단선택 및 통행배정
수단선택
평균재차인원 및 승용차 환산계수
교통량지체함수VDF
5 장래 교통수요 추정
III 건설 필요성
1 교량 붕괴에 따른 사회적 불안감 해소
2 전막교차로 지정체 해소
3 광역적 연계 및 소통기능 확보
IV 경제적 타당성
1 편익 산출 결과
2 비용 산출 결과
3 경제적 타당성 분석 결과
V 결론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형철
충남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 연구교류 공동워크숍(김형철,조종석,천승훈) 2015. 12. 08
충남 교통DB 활성화 방안 전문가 워크숍(김형철,조종석) 2015. 01. 21
충남 교통 물류 네트워크체계 발전방안(김형철) 2015. 06. 26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열린충남75호 2016. 06. 01
-
김원철
충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발전방안 세미나 (CNI세미나2017-013) (김원철, 강상철) 2017. 03. 10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 세미나(조준한,김재열,김원철) 2016. 07. 27
국도77호선 조기건설 논리개발을 위한 시도 협력 세미나(김원철,이영주,이상국) 2015. 05. 20
충남 교통체계진흥화사업 발전방향 세미나(이주일, 류창남, 김원철) 2015. 04. 29
인구감소시대의 공공서비스 효율화 방안(조미형,정혜민,김원철,김재열) 2014. 03. 06
지역실정을 고려한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도입운영 및 모니터링 방안 워크숍(김원철,박준태) 2016. 04.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