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국도 제77호선은 서남해안권의 관광도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나 미연결 구간이 많고 교통정보 제공시설 부족으로 인해 관광객 감소 및 접근성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보고서는 국도 제77호선을 중심으로 SMART 드라이브 코스 개발과 미연결 구간 개선 교통정보 제공전략을 통해 서남해안권 스마트 관광도로 건설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SMART 드라이브 코스는 권역별 해안관광 특성을 연계하여 관광수요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수도권은 Spectacle 충청권은 Multiple 호남권은 Art and Annal 경남권은 Recreation 부산경북권은 Three culture를 테마로 개발되며 각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자원과 연계한 관광 콘텐츠를 통해 아시아 명품 드라이브 코스를 조성한다
국도 제77호선의 미연결 구간 14개소를 연결할 경우 총 통행시간이 약 2962분 단축되며 특히 충청권의 경우 935의 시간 단축 효과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46개의 관광지와 19개의 산업단지의 접근성이 개선되며 약 941만 명의 관광객이 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서산시 대산읍과 태안군 이원면의 연결은 수도권과 태안군 간 이동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인다
ITS지능형교통체계 시설은 수도권에 비해 충청권과 전라권에서 구축률이 낮아 교통안전 및 운행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 제공을 위한 ITS 확충이 필요하며 이는 관광객의 안전운전 유도와 교통 혼잡 사고 물류비용 CO₂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다
국도 제77호선의 스마트 관광도로화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 개선을 넘어 관광경제의 회복과 지역 간 상생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이를 위해 경유 시군 간의 연대와 공조를 통한 정책 건의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SMART 드라이브 코스는 권역별 해안관광 특성을 연계하여 관광수요를 창출하고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자 하는 전략이다 수도권은 Spectacle 충청권은 Multiple 호남권은 Art and Annal 경남권은 Recreation 부산경북권은 Three culture를 테마로 개발되며 각 지역의 역사 문화 자연자원과 연계한 관광 콘텐츠를 통해 아시아 명품 드라이브 코스를 조성한다
국도 제77호선의 미연결 구간 14개소를 연결할 경우 총 통행시간이 약 2962분 단축되며 특히 충청권의 경우 935의 시간 단축 효과가 나타난다 이로 인해 46개의 관광지와 19개의 산업단지의 접근성이 개선되며 약 941만 명의 관광객이 그 혜택을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충남 서산시 대산읍과 태안군 이원면의 연결은 수도권과 태안군 간 이동시간을 1시간 이내로 줄인다
ITS지능형교통체계 시설은 수도권에 비해 충청권과 전라권에서 구축률이 낮아 교통안전 및 운행효율이 저하되고 있다 따라서 실시간 교통 및 여행정보 제공을 위한 ITS 확충이 필요하며 이는 관광객의 안전운전 유도와 교통 혼잡 사고 물류비용 CO₂ 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다
국도 제77호선의 스마트 관광도로화는 단순한 교통 인프라 개선을 넘어 관광경제의 회복과 지역 간 상생 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이다 이를 위해 경유 시군 간의 연대와 공조를 통한 정책 건의와 협력이 중요하다고 강조된다
목차
I 개요
II 서남해안권 관광개발 관련계획
III 서남해안권 관광실태 및 관광도로의 문제점
IV 서남해안권 스마트 관광도로 건설 방향
V 결론
II 서남해안권 관광개발 관련계획
III 서남해안권 관광실태 및 관광도로의 문제점
IV 서남해안권 스마트 관광도로 건설 방향
V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원철
충남 수요응답형 교통체계 발전방안 세미나 (CNI세미나2017-013) (김원철, 강상철) 2017. 03. 10
안전한 어린이 통학로 조성 세미나(조준한,김재열,김원철) 2016. 07. 27
국도77호선 조기건설 논리개발을 위한 시도 협력 세미나(김원철,이영주,이상국) 2015. 05. 20
충남 교통체계진흥화사업 발전방향 세미나(이주일, 류창남, 김원철) 2015. 04. 29
인구감소시대의 공공서비스 효율화 방안(조미형,정혜민,김원철,김재열) 2014. 03. 06
지역실정을 고려한 수요응답형교통수단(DRT) 도입운영 및 모니터링 방안 워크숍(김원철,박준태) 2016. 04.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