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공주시 중심지계층구조 분석
현안

공주시 중심지계층구조 분석

기간
2014. 01. 24 ~ 2014. 02. 27
연구책임자
이상준
연구자
김정연,오명택
키워드
공주시,중심지계층,중심성지수,기능지수,군집분석,서비스이용권,전화번호부,대도시 접근성
다운로드

2015년 농산어촌개발사업(농촌중심지 활성화)을 위한 중심지 계층구조 및 생활권 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의 중심지 계층구조 분석 결과 공주시 동부지역이 전체 중심기능의 7949를 차지하며 압도적인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구읍은 855로 두 번째 계층에 해당하며 그 외 의당면 탄천면 신풍면 등은 168210의 기능지수를 보이며 제3계층으로 분류된다 정안면 사곡면 이인면 등은 제4계층에 해당하며 중심성이 가장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공주시 내 중심기능이 극히 일부 지역에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상품 구매 및 서비스시설 이용 분석에서는 생활필수품 농업물품 진료 등의 저차서비스는 대부분 자기 읍면에서 소비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활편의시설이나 가전제품 종합병원 등의 중고차서비스는 대전광역시 등 인근 대도시로의 의존도가 높았다 특히 종합병원 이용의 경우 공주시민의 85가 외부 대도시에서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역 내 고차서비스 인프라 부족을 시사한다
공주시민의 경제활동 대부분은 지역 내에서 이루어지고 있었으나 7는 대전광역시 등 외부에서 활동하고 있어 인접 대도시와의 연계성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사회모임과 문화여가체육활동의 경우도 1014는 대전 등지로 이동해 활동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역시 지역 내 문화 및 여가 시설의 확충 필요성을 뒷받침하는 지표다
업종별 시설 분포를 보면 음식점 미용실 병원의원 금융업 슈퍼마켓 등의 중심 생활업종은 공주 동부지역에 밀집되어 있었으며 유구읍에 일부 보조 중심지 기능이 분포해 있었다 반면 제3 4계층 지역은 대부분 업종에서 시설 수가 매우 적거나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지역은 정주서비스 기능만을 수행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
공주시의 서비스이용 및 기능 분포 양상은 중심지 기능의 극단적 집중과 주변 농촌 지역의 기능 미비라는 이중구조를 보여준다 이는 지역 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농촌지역 주민의 일상생활에 불편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공공서비스나 중차서비스 인프라의 분산적 배치 및 기능 보완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공주시 중심지 계층은 동부지역에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어 지역 간 기능 격차가 크며 저차서비스 외의 분야에서는 대도시 의존도가 높다 공주시의 지역균형 발전을 위해서는 중심기능 분산 서비스 인프라 확충 생활권 단위의 기능 재배치 등이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목차

I 공주시 중심지계층구조 분석
1 중심지 계층구조 분석
1 분석방법
2 이용자료
3 공주시 분석결과
2 상품구매 및 서비스시설 이용권
1 분석방법 및 이용자료
2 분석결과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