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청남도 지역구조 분석 및 생활권 구성 방안
현안

충청남도 지역구조 분석 및 생활권 구성 방안

기간
2014. 01. 29 ~ 2014. 02. 10
연구책임자
이상준
연구자
김정연,오명택
키워드
충청남도,지역행복생활권,통근통행,산업연계,문화권,생활권 구성,중간재화,서비스이용
다운로드

최종)충청남도 지역구조 분석 및 생활권 구성 방안(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의 지역행복생활권은 주민이 고차 및 기초서비스를 균등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중심도시 농어촌중심지 마을로 구성된 공간구조를 기반으로 설정되었다 이 구조는 통근 상품 및 서비스 이용 산업연계 등을 고려한 정량정성 지표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문화권은 차령산맥을 경계로 금강문화권과 내포문화권으로 구분된다 각 지역은 문화적 동질성과 역사적 연계성을 바탕으로 광역적 교류 가능성이 있으며 생활권 설정 시 지자체 협력의지도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였다
통근연계 분석 결과 천안아산 간 통근량이 가장 높았고 대전과 인접한 공주논산계룡금산 등의 연계도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서남부지역은 시군 간 통근 연계가 약한 편이며 보령시 등은 독립적인 공간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천안아산 공주부여청양 보령서천 서산당진태안 논산계룡금산 홍성예산의 6개 생활권이 설정되었다
상품 구매 및 서비스 이용 분석에서는 저차서비스는 대부분 자기 지역 내에서 소비되는 반면 종합병원 문화여가 활동 등 고차서비스는 대전 천안 등 대도시로의 집중도가 높았다 특히 공주 금산 예산 등은 대전 의존도가 높았고 농업물품 및 가전제품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지역 외 구매 비율이 높게 나타나 지역 내 서비스 기반이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산업연계 구조 분석에 따르면 천안아산 생활권의 산업 중간재 조달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서산당진태안 지역도 상호 연계가 밀접하게 나타났다 공주부여청양은 산업별로 일부 연계성이 존재했으며 논산계룡금산은 논산을 중심으로 산업연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시군은 천안과 아산에 산업적으로 종속된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각 생활권별 특성과 연계 정도를 파악하였고 천안아산 생활권은 산업 및 통근연계가 가장 강하며 공주부여청양은 역사문화적 연결성이 두드러진다 보령서천은 해양자원을 기반으로 한 연계 가능성이 높고 홍성예산은 내포신도시를 매개로 향후 통합 잠재력을 가진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생활권 구조는 지역 간 연계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통합과 협력의 기반이 되는 적정 생활권 구성과 차별화된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각 생활권은 산업경제적 특성 문화적 동질성 행정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광역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충청남도 전체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개요
1 지역행복생활권의 기본개념
2 지역행복생활권의 유형
3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성 기준
4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
2 역사문화적 동질성
3 통근연계구조 및 통근권
1 분석의 방법 및 이용자료
2 대전충청지역의 통근통행권
3 충남 지역행복생활권별 통근연계구조
4 상품구매 및 서비스시설 이용권
5 시군간 산업연계구조
6 종합분석 및 지역행복생활권 대안설정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