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통근연계 분석 결과 천안아산 간 통근량이 가장 높았고 대전과 인접한 공주논산계룡금산 등의 연계도 강하게 나타났다 반면 서남부지역은 시군 간 통근 연계가 약한 편이며 보령시 등은 독립적인 공간구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천안아산 공주부여청양 보령서천 서산당진태안 논산계룡금산 홍성예산의 6개 생활권이 설정되었다
상품 구매 및 서비스 이용 분석에서는 저차서비스는 대부분 자기 지역 내에서 소비되는 반면 종합병원 문화여가 활동 등 고차서비스는 대전 천안 등 대도시로의 집중도가 높았다 특히 공주 금산 예산 등은 대전 의존도가 높았고 농업물품 및 가전제품의 경우 일부 지역에서 지역 외 구매 비율이 높게 나타나 지역 내 서비스 기반이 부족함을 보여주었다
산업연계 구조 분석에 따르면 천안아산 생활권의 산업 중간재 조달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서산당진태안 지역도 상호 연계가 밀접하게 나타났다 공주부여청양은 산업별로 일부 연계성이 존재했으며 논산계룡금산은 논산을 중심으로 산업연계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 시군은 천안과 아산에 산업적으로 종속된 형태를 띠고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각 생활권별 특성과 연계 정도를 파악하였고 천안아산 생활권은 산업 및 통근연계가 가장 강하며 공주부여청양은 역사문화적 연결성이 두드러진다 보령서천은 해양자원을 기반으로 한 연계 가능성이 높고 홍성예산은 내포신도시를 매개로 향후 통합 잠재력을 가진 지역으로 평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생활권 구조는 지역 간 연계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나며 통합과 협력의 기반이 되는 적정 생활권 구성과 차별화된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각 생활권은 산업경제적 특성 문화적 동질성 행정 협력을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광역협력 체계를 구축해야 하며 이를 통해 충청남도 전체의 균형 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1 지역행복생활권의 기본개념
2 지역행복생활권의 유형
3 지역행복생활권의 구성 기준
4 본 연구에서의 분석방법
2 역사문화적 동질성
3 통근연계구조 및 통근권
1 분석의 방법 및 이용자료
2 대전충청지역의 통근통행권
3 충남 지역행복생활권별 통근연계구조
4 상품구매 및 서비스시설 이용권
5 시군간 산업연계구조
6 종합분석 및 지역행복생활권 대안설정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명택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도 제1회 소도시연구회 '도시재생정책의 중소도시 적용방안 모색' (정철모,조봉운,오명택) 2013. 02. 26
제2회 소도시연구회 공주시 도시재생전략 모색을 위한 워크숍 (김정연,이상준,조봉운,오명택) 2012. 12. 10
충남리포트-166호-충청남도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과제와 전략 2015. 05. 01
서산·당진·태안 생활권 발전계획 수립 연구용역(당진시) 2015. 03. 24
-
이상준
2016년[공주·부여·청양생활권]연계 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상준) 2016. 03. 22
2013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 읍(동)면소재지 종합정비사업 계획수립 수준 향상 전문가 워크숍 (한상욱,이상준) 2013. 07. 23
2016년 『서산·당진·태안생활권』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한 관계자 합동워크숍(이성일,이상준) 2016. 07. 28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
-
김정연
2014년 소도시연구회 2차 워크숍'도시재생계획 수립 및 재생기반 구축의 효율적 추진 방안'(오명택,김정연,김주진,황희연) 2014. 02. 04
14년 소도시연구회 1차 워크숍'농촌중심지 활성화사업 계획수립 방안 모색 워크숍'(이상준,한상욱,김정연,서인국) 2014. 01. 14
제3회 소도시연구회 워크숍 (안완기,김정연,이상준) 2012. 12. 21
2014년 지역행복생활권연구회 1차 워크숍'지역행복생활권 연계?협력사업 발굴?구상을 위한 워크숍'(오명택,김정연,장성화) 2014. 01. 20
2013년 소도시연구회 5차 워크숍 농촌중심지 활성화 정책의 새로운 방향 모색주제발표 (김정연,성주인) 2013. 07. 29
2014년 소도시연구회 4차 워크숍'도시재생정책 추진동향과 충남의 대응과제'(황희연,이상준,김정연,김기민,현명기) 2014. 07. 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