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기업인 대학운영 방안
현안

충청남도 기업인 대학운영 방안

기간
2014. 04. 15 ~ 2014. 05. 26
연구책임자
신동호
키워드
충남기업인대학,기업인 교류,산업클러스터,상인대학,농업인대학,INS모델,충남경제진흥원,중장기운영방안
다운로드

(현안과제)충청남도 기업인대학 운영방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기업 간 네트워크의 미성숙 문제를 해결하고 지식정보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인 대학 운영을 제안하였다 이는 기업인들이 상호 교류하며 경영 기술 마케팅 등 다양한 지식을 공유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기 위한 것으로 국내외 상인대학 농업인대학 일본 이와테 INS 모델 등을 참고하여 충남형 모델을 설계하였다 특히 교육보다는 교류 중심의 구조를 통해 기업 생태계 내 사회적 자본을 형성하는 것이 핵심이다
국내 상인대학과 농업인대학은 교육 중심의 모델로 특정 계층의 경영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나 기업인 대학은 정보 교류와 네트워크 형성에 초점을 둔다 일본의 INS는 개인 중심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며 기업 정부 대학 간의 경계를 허물고 상호 신뢰를 바탕으로 한 교류를 촉진하는 방식으로 운영된다 충남의 경우 이러한 모델을 단기적으로는 교육 병행형 중장기적으로는 교류 중심형으로 점진적으로 도입할 계획이다
운영 주체로는 충남기업인연합회 충남경제진흥원 충남발전연구원 등이 검토되었으며 각 기관의 장점을 살려 거버넌스형 협력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되었다 단기 운영은 충남도 관련 부서와 유관기관의 협조 아래 교육과정 개설 특강 현장견학 기업인 애로사항 수렴 등으로 구성되고 하반기 중 세 차례의 운영 일정이 제시되었다 기업인들의 의견 수렴을 반영하여 유연하게 프로그램을 조정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중장기적으로는 충남도 내 기존 시책을 연계하여 무역실무 동반성장 기술개발 제품상용화 품질경영 등 5개 교육과정을 구성하며 이는 관련 센터 협의회 대학 등이 운영 주체로 참여하게 된다 교육은 특강 사례발표 토론 현장견학 등으로 구성되고 실무 중심의 네트워킹 기능을 강화한다 이로써 충남의 산업 경쟁력을 높이고 기업 생태계의 질적 성장을 유도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제도적 기반으로는 충남 기업인대학 운영조례 제정이 필요하며 협의회 구성을 통해 운영의 연속성과 전문성을 확보해야 한다 또한 예산 확보를 통해 프로그램 운영의 지속 가능성을 높이고 관련 기관 간 협력 구조를 체계화하여 실질적 운영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 충남도는 이 대학을 통해 민간 중심의 기업 혁신과 자율적 협업문화를 확산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 기업인 대학은 기존의 일방적 교육지원에서 탈피하여 기업인 간 교류 중심의 네트워크 강화 사회적 자본 축적 실용적 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하며 단계적 실행과 협력적 운영체계를 통해 지역 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유도하는 플랫폼으로 발전시킬 계획이다

목차

Ⅰ 서론
Ⅱ 국내외 유사사례 검토
1 국내외 사례
2 종합 및 정책적 시사점
Ⅲ 충남 기업인대학 운영방안
1 운영 대상기관 검토
2 단기적 운영방안
3 중장기적 운영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