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현안
내포신도시권 산림생태축 조성 및 관리방안
- 기간
- 2014. 08. 13 ~ 2014. 09. 30
- 연구책임자
- 사공정희

내용
Ⅱ 내포산림생태축 유도
21 충남광역산림생태축을 반영한 내포산림생태축 유도
충남은 2007년부터 충남지역에 대한 자연환경조사를 시작하여 2012년 충남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광역적 차원에서의 산림ㆍ하천ㆍ습지 생태네트워크를 제시하였음
충청남도의 전체면적 857204 중 산림생태축 관리구역의 면적은 72791849이며 핵심구역이 49392576 완충구역이 23399273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충남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내포신도시권역의 경우 산림생태축을 유도할 때 기존의 충남광역생태네트워크 중 산림으로 형성된 충남광역산림생태축을 반영하는 것이 차원에서 바람직함
22 광역 및 지역 비오톱 등급 간의 생태적 위계 정립
제1산림생태축은 충남 뿐 아니라 내포신도시권역 전체에 산소를 제공하는 허파이며 야생동식물의 서식과 흐름을 지속시키는 동맥의 기능을 수행함
제2산림생태축은 제1산림생태축으로부터 발생하는 생태자원을 각 시ㆍ군까지 연결시키는 모세혈관의 기능을 수행함
따라서 내포신도시권역 전체를 아우르는 광역산림생태축을 내포신도시권역의 제1산림생태축 각 시ㆍ군의 비오톱 Ⅰ등급 산림을 내포신도시권역의 제2산림생태축으로 지정ㆍ관리할 필요가 있음
21 충남광역산림생태축을 반영한 내포산림생태축 유도
충남은 2007년부터 충남지역에 대한 자연환경조사를 시작하여 2012년 충남지역 전체를 아우르는 광역적 차원에서의 산림ㆍ하천ㆍ습지 생태네트워크를 제시하였음
충청남도의 전체면적 857204 중 산림생태축 관리구역의 면적은 72791849이며 핵심구역이 49392576 완충구역이 23399273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음
충남지역에 포함되어 있는 내포신도시권역의 경우 산림생태축을 유도할 때 기존의 충남광역생태네트워크 중 산림으로 형성된 충남광역산림생태축을 반영하는 것이 차원에서 바람직함
22 광역 및 지역 비오톱 등급 간의 생태적 위계 정립
제1산림생태축은 충남 뿐 아니라 내포신도시권역 전체에 산소를 제공하는 허파이며 야생동식물의 서식과 흐름을 지속시키는 동맥의 기능을 수행함
제2산림생태축은 제1산림생태축으로부터 발생하는 생태자원을 각 시ㆍ군까지 연결시키는 모세혈관의 기능을 수행함
따라서 내포신도시권역 전체를 아우르는 광역산림생태축을 내포신도시권역의 제1산림생태축 각 시ㆍ군의 비오톱 Ⅰ등급 산림을 내포신도시권역의 제2산림생태축으로 지정ㆍ관리할 필요가 있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