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빅데이터를 이용한 충남도 정책 키워드 분석
전략

빅데이터를 이용한 충남도 정책 키워드 분석

기간
2014. 01. 01 ~ 2014. 03. 31
연구책임자
임화진
키워드
사회적경제,3농혁신,텍스트마이닝,충남도정,SNS데이터,정책파급도,여론분석,맞춤형정책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빅데이터를 이용한 충남도 정책파급도 분석_원외연구자_20150205_15.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빅데이터는 기존 분석 기술로는 처리 어려운 대용량의 데이터를 말하며 정부 30 시대에 맞춰 이를 행정 분야에 활용하려는 시도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충청남도는 정책 수립에 앞서 도민의 여론을 효율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수단으로 언론 및 SNS 데이터를 분석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정책 수요자 중심의 행정을 위해 신문기사와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충남 관련 키워드와 그 파급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상반기에는 정치경제 이슈가 하반기에는 문화 이슈가 부각되었으며 천안시는 지역 내 정보 네트워크에서 핵심적인 허브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경제 키워드는 서울 수원 성남 등과 함께 전국적 맥락에서 언급되는 반면 3농혁신은 충남 고유의 정책으로 지역 내 언급에 국한되어 추상적인 개념 수준에 머물렀다 따라서 사회적경제는 전국적 네트워크 강화가 3농혁신은 구체적이고 체감 가능한 사업화를 통해 대중 인식을 넓혀야 한다는 점이 도출되었다
연구는 TFIDF 등 수학적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단어의 중요도를 분석하고 키워드 간 연관성을 시각화하여 여론 구조를 파악하였다 또한 노출도 개념을 통해 트위터에서의 정보 확산력도 함께 평가하였다
국내외 사례 분석 결과 공공 분야에서도 빅데이터는 의료 교통 재난관리 환경 감시 민원분석 등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충남도 또한 zero 100 프로젝트나 재난 예측 사업 등을 통해 빅데이터 기반 정책을 확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비정형 데이터 분석을 통해 정책 여론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 정책 추진 방향을 보다 체계화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었다 향후에는 정형비정형 데이터를 융합하여 지속적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고 정책 피드백 기능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

Ⅰ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연구의 배경
연구의 목적
사용 개념의 정의
2 연구의 흐름
Ⅱ 제2장 빅데이터에 관한 선행연구 및 활용사례
1 빅데이터의 개념
빅데이터의 정의 및 특징
빅데이터에 관한 선행연구
2 국내 외 빅데이터 활용사례
민간부문의 활용사례
공공부문의 활용사례
Ⅲ 제3장 충청남도 정책키워드 분석 방법
1 충남도 정책키워드 분석 개요
2 분석자료의 범위 및 자료구축 방법
분석자료의 범위
분석자료의 수집
3 분석방법의 개요
텍스트마이닝Text Mining
텍스트마이닝 기법 및 지표
분석의 구성
Ⅳ 제4장 충청남도 정책키워드 분석 결과
1 충청남도 언론기사 분석
기본 통계 언론기사 전체 월별현황 및 검색어
신문기사 키워드 분석 결과
2 충남도 관련 트위터 분석
기초 현황 분석
연관어 분석
연관어 네트워크
Ⅴ 제5장 결론 및 제언
1 주요 결론
2 연구성과의 활용과 향후 과제
충남도 빅데이터 활용 현황과 과제
본 연구의 한계
참고 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