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전략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기간
2014. 01. 01 ~ 2014. 08. 31
연구책임자
김원철
연구자
조봉운,김형철,유준일
키워드
충청남도,기·종점,교통수요분석,DB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_김원철_20150119_12-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_김원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1 필요성과 목적
충남은 대산당진 고속도로 서해선 철도 장항선 철도 등 사회간접자본시설Social Overhead Capital 이하 SOC 사업을 추진하기 위하여 대응 논리를 마련하고 국비 확보를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SOC 사업 추진 시 국비 확보를 위한 대응 논리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장래 교통수요예측과 해당 사업노선의 타당성을 입증할 수 있는 객관적이고 정량적인 분석 결과가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지역 현실이 반영된 신뢰성 있는 분석 기초자료가 필수적이며 장래 교통수요예측 분석에는 국가에서 공인한 국가교통 데이터베이스Korea Transport DataBase 이하 KTDB의 기종점 통행량OriginDestination 이하 OD과 네트워크 자료가 이용된다 국가는 국가교통DB센터를 통하여 5년마다 여객 기종점 통행량 조사를 수행하고 연차별로 전수화 현행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과 대도시권의 광역시는 이러한 국가 교통조사에 참여하여 교통수요분석 기초자료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교통수요분석 DB는 충청남도 교통SOC 사업추진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많은 관심을 받지 못해 충남 지역의 통행패턴을 모사하는 데에 한계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충남의 교통SOC 추진을 위해 중장기적인 시각에서 지역 현실이 반영된 교통수요분석DB 구축과 관리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공간적 범위
2 시간적 범위
3 수행 방법
3 연구의 흐름
제2장 선행연구 검토
1 교통수요예측모형 검토
1 통행발생빈도 행태
2 목적지선택 행태
3 교통수단선택 행태
2 교통정보 자료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1 TCS
2 교통카드 데이터
제3장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현황 및 문제점
1 KTDB 기종점 통행량 현황
1 여객 기종점 통행량 배포 현황
2 화물 기종점 통행량 배포 현황
3 여객 화물 기종점 통행량 수집절차
4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활용 측면의 문제점
2 교통존 체계와 내부통행량 현황 및 문제점
1 충청남도 교통존 체계 현황
2 충청남도 교통존 체계와 내부통행량 문제점
3 개발계획 반영 현황 및 문제점
1 개발계획 반영 현황
2 개발계획 반영 내역의 문제점
4 교통수요모형 현황 및 문제점
1 교통수요모형 구축 현황
2 충청남도 교통수요모형의 문제점
제4장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및 활용 방안
1 개요
2 충청남도 기종점 통행량 구축 방안
1 교통존 체계 정립
2 교통수요모형 구축
3 KTDB 지역간 통행량 융합 방안
3 활용 방안
1 국가 교통 SOC 건설의 대응 논리 마련에 활용
2 충청남도 교통 공급정책에 활용
3 충청남도 대중교통 운영정책에 활용
제5장 충청남도 교통수요분석 DB 구축 추진 방안
1 기존의 국가 교통수요조사 및 DB 구축
1 개요
2 2010년 여객 기종점 통행량 조사
3 2011년 여객 OD 전수화 및 장래수요예측 사업
4 2012년 지역간 여객 OD 현행화 및 장래수요예측 사업
2 충청남도 교통수요분석DB 구축 추진 체계
1 국가 교통수요조사의 충청남도 추진 체계
2 관계기관 역할 분담안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안
참고 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