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사회복지사례관리기관인 행복키움지원단 활성화 방안 연구
전략

충청남도 사회복지사례관리기관인 행복키움지원단 활성화 방안 연구

기간
2014. 01. 06 ~ 2014. 03. 10
연구책임자
김용현
키워드
행복키움지원단,통합사례관리,복지사각지대,민관협력,지역사회자원,사회복지전달체계,사례관리사,공공복지서비스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사회복지사례관리기관인 행복키움지원단 활성화 방안 연구_김용현_20150106_01-충청남도 행복키움지원단 활성화 방안 연구_김용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의 행복키움지원단은 2012년 희망복지지원단의 도형 모델로 출범하여 통합사례관리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복지 수요 증가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수요자 중심의 통합 서비스를 지향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실태 점검과 개선 방안 마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조사 대상은 도시형 도농복합형 농촌형 등 5개 시군으로 구분하였으며 문헌조사 포커스그룹면접FGI 설문조사를 통해 조직 운영과 사례관리 체계 업무 현황 민관 협력 등의 실태를 진단하였다 사례관리 수행 시 인력 부족 복잡한 행정절차 타 기관과의 연계 지연 등이 주요 애로사항으로 지적되었다
설문조사에서는 사례관리의 어려움으로 지역사회 자원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나타났고 민관 간 소통 공간 부족과 정보 공유 체계 미흡이 문제로 부각되었다 특히 정신질환자나 알코올 중독자 관리 시 전문 인력의 부재와 서비스 연계 한계가 반복적으로 제기되었다
연계 활동에서는 공공기관 간 협력은 원활하지만 민간기관과의 관계에서는 역할 중복 문제나 협력 미흡 사례가 발생하고 있다 공공사례관리 컨트롤타워로서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한 상황이다
성과 측면에서는 통합사례관리를 통한 긴급지원과 자원 연계가 일부 효과를 보였으나 대상자의 자립과 탈빈곤을 유도하는 장기성과는 제한적이다 복지 체감도 향상을 위해 자원의 확보 사례관리사의 전문성 강화 클라이언트 중심 서비스 개선이 필요하다
개선 방안으로는 행복키움지원단 명칭 통일 매뉴얼 제작 전문 인력 확보 민관 협력 강화 등이 제시되었으며 중장기적으로는 충남복지재단 설립 사회복지센터 운영 지속적인 슈퍼비전 체계 마련 등이 요구된다

목차

I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2 연구방법
3 연구의 범위
4 연구의 분석틀
5 연구의 체계
II 행복키움지원단의 추진배경과 현황
1 추진배경
1 중앙정부 희망복지지원단 출범배경과 충남도의 대응
2 타 지역 희망복지지원단의 사례 경기도 무한돌봄센터
2 행복키움지원단의 일반적 현황
1 맞춤형 사례관리치유 케어
2 복지 사각지대 해소나눔 돌봄
3 저소득층 자활자립 일자리 지원
4 상시 상담채널 구축
3 선행연구 검토
III 행복키움지원단의 실태조사 결과
IV 행복키움지원단의 실태분석
1 조직 및 인력
2 업무사업
3 사례관리관련 사항
4 연계관련 사항
V 행복키움지원단 성과평가 및 발전방안
1 성과
2 행복키움지원단의 문제점
3 충남도 행복키움지원단의 발전방안
1 충남도에서 추진 할 단기과제
2 충남도에서 추진 할 중장기 과제
VI 결론
참고문헌
부록 1 포커스그룹 인터뷰 설문지
부록 2 행복키움지원단 활성화 방안 설문조사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