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홍동 유기농업의 형성과 변천
전략

홍동 유기농업의 형성과 변천

기간
2014. 09. 01 ~ 2015. 02. 27
연구책임자
김기흥
연구자
강마야
키워드
홍동,유기농업,오리농법,풀무학교,문산마을,공동체,케이퍼빌리티,연대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홍동 유기농업의 형성과 변천_김효주_20151201__김기흥.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홍동 유기농업은 1970년대 중반 환경과 건강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전국적인 유기농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풀무학교 정농회 협동조합 등 자생 단체들이 형성한 공동체적 기반은 실천농가 간 연대와 자부심의 근간이 되었다
1990년대 중반 이후 오리농법 도입과 흑미 재배를 통한 기술적 전환은 유기농업 확산의 기폭제 역할을 했으며 도시 소비자와의 직거래와 교류가 마을 전체의 유기농업 정착에 결정적 영향을 주었다 오리농법은 단순한 농법을 넘어 교육적정서적 의미까지 포괄한 상징으로 발전했다
홍동 유기농업의 형성은 공통 가치의 정서적 기반 자생 단체 조직화 구조적 기능화 성공적 실천의 순환적 구조를 갖는다 이는 단합을 토대로 한 마을 공동체의 힘이며 개별 농가의 실천 의지가 유기농업의 집단적 성과로 전환된 대표 사례다
이론적으로는 아마르티아 센의 케이퍼빌리티 접근법을 통해 유기농업을 정량적 생산성이 아닌 삶의 질과 자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자 했다 이는 농업을 통한 자율적 삶 공동체적 가치 문화적 정체성 등을 중요한 요소로 인정하는 평가틀이다
문당리 문산마을을 사례로 한 심층인터뷰에서는 토착 농민들이 유기농업을 통해 느끼는 긍지와 삶의 변화 그리고 세대교체의 어려움이 생생히 드러났다 고령화와 후계자 부재는 현재 홍동 유기농업의 가장 시급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오리농법의 브랜드화 귀농자 유입과 연계된 공동체 유지 생산자소비자 연대 확대 등이 요구되며 이러한 무형 자산을 보전활용하기 위한 현장 밀착형 정책 설계가 필요하다 홍동의 사례는 충남은 물론 전국 유기농업 발전의 이정표로 작용할 수 있다

목차

I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 목적
3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연구범위
연구내용
연구방법
II 이론적 고찰
1 이론적 검토
케이퍼빌리티의 개념
정보의 제한
누스바움의 리스트
불완전순서
케이퍼빌리티와 홍동 유기농업의 관련성
2 선행연구 고찰
3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
III 홍동 유기농업의 형성과 변천과정
1 홍동 유기농업의 시작
유기농업의 계기와 애농회
유기농업의 실천과 풀무학교
유기농업의 확대와 협동조합 및 농가조직
2 홍동 유기농업의 성장
오리농법의 도입과 도시민과의 교류
오리농법의 확산과 흑미의 도입
오리농법의 정체와 상징성
3 사례연구 문당리 문산마을
개요
조사 결과
4 소결
IV 홍동 유기농업의 특징 및 과제
1 유기농업의 개념과 발전 과정
유기농업의 개념
국내 유기농업 발전 과정
일본 유기농업 발전 과정
세계적인 연대
2 홍동 유기농업의 특징
지역공동체 단합
소비자와의 연대
지역환경과 안전한 먹거리
3 홍동 유기농업의 과제
오리농법
후계자 문제
소비자와의 교류
V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