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금산 인삼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위한 세미나(강신정,안용산,조영재)
연구정책조성/세미나

금산 인삼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위한 세미나(강신정,안용산,조영재)

기간
2014. 09. 19 ~ 2014. 09. 19
연구책임자
유학열
연구자
이인배,김종화,강마야,이영옥
키워드
금산인삼,농업유산,전통농업,곡삼,인삼문화,사포닌,GAP,지역경제
다운로드

금산인삼의 국가중요농업유산 지정을 위한 세미나(2014.09).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1)금산인삼 전통농업 특징과 가치(2014.09)_강신정.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2)인삼과 금산지역의 문화(2014.09)_안용산.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발표3)금산 인삼의 농업유산적 가치(2014.09)_조영재, 유학열.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금산인삼은 1500년 이상의 역사와 독특한 재배가공 방식 뛰어난 약효로 농업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고대 중국의 문헌에도 백제삼으로 언급되며 최고 품질의 인삼으로 평가받았다
금산의 인삼 전통농업은 산림 친화적 재배지 선정 유기물 중심의 예정지 관리 무농약 재배와 박피곡삼화 등 가공방식에 있어 과학적이고 친환경적인 특징을 보인다
전통방식은 GAP 농업보다 앞선 Super GAP으로 재평가되며 고사와 삼장제 등 인삼을 신령한 존재로 여긴 전통 문화가 농사 규범으로 이어져 왔다
금산인삼은 사포닌 종류가 다양하고 균형 있게 분포돼 있어 항암 혈압조절 간기능 회복 면역력 증진 등 다양한 약리효과를 가지며 국내외에서 가장 효능이 우수한 인삼으로 평가된다
금산은 인삼재배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전국 유통의 중심지로 백삼생삼 시장 수삼센터 전통시장 등이 발달했고 지역경제와 공동체 형성에도 핵심 역할을 한다
개삼제 금산인삼축제 세계인삼엑스포 등 인삼을 매개로 한 지역문화와 산업 축제가 정착되었으며 인삼을 통한 지역 정체성 확립과 농업유산 등재를 위한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목차

제1장 금산 인삼농업의 특징과 가치
1 금산인삼 전통농업의 특징
1 재배지 선정의 특징
2 예정지 관리의 특징
3 재배 과정의 특징
4 백삼 가공과정의 특징
2 금산인삼 전통농업의 가치
1 전통농업과 GAP농업의 비교
2 금산인삼 전통농업의 재평가
제2장 인삼과 금산지역의 문화
1 인삼과 민속
2 인삼생산 과정
제3장 금산 인삼의 농업유산적 가치
Ⅰ 자원의 개요
Ⅱ 금산인삼의 농업유산적 가치
1500년의 인삼 재배 역사
전통 재배 및 가공 방법
금산인삼의 약효와 효능
지역경제공동체 형성
인삼 테마의 지역문화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