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최근 기후변화 생태계 파괴 미생물의 적응과 변화 국가 간 교역 확대와 여행 증가 등으로 인해 신종 감염병 뿐만 아니라 과거에 사라졌던 감염병까지 증가하고 있어 공중보건의 위기가 확대될 가능성이 있음
감염병이 전국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고 뎅기열 및 세균성이질 등과 같은 해외유입 감염병도 증가하고 있음
충남은 전국 16개 지자체 중에서 감염병이 아홉 번째로 많이 발생했고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그중 태안군은 인구 10만 명 당 연평균 감염병 발생자수가 12885명으로 도내에서 가장 많았고 천안시가 1850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음
충남에서 발생하는 감염병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인구 10만 명 당 연평균 발생자수가 3405명인 쯔쯔가무시증이었고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취약계층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후 생략
감염병이 전국적으로 크게 증가하고 있고 뎅기열 및 세균성이질 등과 같은 해외유입 감염병도 증가하고 있음
충남은 전국 16개 지자체 중에서 감염병이 아홉 번째로 많이 발생했고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음 그중 태안군은 인구 10만 명 당 연평균 감염병 발생자수가 12885명으로 도내에서 가장 많았고 천안시가 1850명으로 가장 적게 나타났음
충남에서 발생하는 감염병 가운데 가장 많은 것은 인구 10만 명 당 연평균 발생자수가 3405명인 쯔쯔가무시증이었고 65세 이상의 고령자가 취약계층인 것으로 나타났음
이후 생략
목차
1 감염병이 몰려오고 있다
2 감염병 발생 현황 및 대책
3 충남 차원의 정책 제언
2 감염병 발생 현황 및 대책
3 충남 차원의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명형남
4개 시도 금강정책 공동연구회 워크숍(2차)(명형남,이재근,배명순) 2014. 11. 21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2015년 제1차 환경복지연구회 워크숍-충남의 라돈과 어린이 건강(하미나,이가희,명형남) 2015. 05. 11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남 서북부 환경취약지역 주민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김영명,명형남) 2014. 11. 05
열린충남71호 2015.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