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리포트-180호--미국의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을 위한 민관파트너십 사례와 시사점
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180호--미국의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을 위한 민관파트너십 사례와 시사점

기간
2015. 08. 20 ~ 2015. 08. 20
연구자
홍원표
키워드
미국,수소연료전지차,H2USA,CaFCP
다운로드

2015-미국의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을 위한 민관파트너십 사례와 시사점-홍원표,강수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현재 우리나라 수소연료전지차 산업의 발전단계를 고려하면 충남이 수소충전소 구축 확대를 위해 민관파트너십을 검토하는 것은 시의적절함
미국은 연방과 주 차원에서 수소연료전지차의 보급을 위해 민관파트너십을 도입하고 있으며 소정의 성과를 거두고 있음 미국은 수소연료전지차의 연구개발성과를 바탕으로 연방정부는 H2USA2013년 설립 캘리포니아 주정부는 CaFCP1999년 설립라는 민관파트너십을 구축하여 추진하고 있음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에 관건인 수소충전인프라 구축의 애로를 극복하기 위해 공공기관 자동차업체 가스공급자 연료전지공급자 간 민간파트너십을 구성운영하고 있음 민관파트너십은 수소연료전지차 보급과 관련하여 차량 충전소 제도 사람 간 균형 및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고 있음
충남의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을 위한 민관파트너십 구축과 관련하여 다음의 네 가지 정책방향을 제안함 첫째 충남의 수소충전소 구축 확대를 위한 사업추진의 근본동력과 사업목적을 명확히 해야 함 둘째 충남이 민관파트너십을 구성하기 전에 우선 가칭수소 로드맵을 수립하여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사업추진방향을 설정해야 함 셋째 충남은 국내외 상황을 면밀히 비교검토하여 민관파트너십의 범위와 사업내용을 결정해야 함 넷째 충남의 수소연료전지차 보급과 관련하여 외국의 다양한 사례와 경험을 흡수하는 체계를 갖추어야 함정책 제언
이후 생략

목차

1 문제제기
2 미 수소연료전지차 보급의 사회적 배경
3 H2USA와 CaFCP의 추진체계와 특징
4 충남에 대한 시사점과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