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천안시는 이미 비오톱지도를 구축하였으나 1등급 면적이 전체의 절반에 가까워 개발 제한이 심화될 경우 지역 발전에 어려움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비오톱 등급의 재평가와 조정이 필요하며 천안시의 녹지체계를 반영해 현실적이고 유연한 활용이 요구된다 황룡지세 등 기존 녹지조성계획도 식생 중심으로 조정하여 경관과 생태 연계를 고려한 방향으로 수정해야 한다
충남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는 천안은 지역의 상징성을 확대할 수 있는 녹화계획이 필요하며 백제 31대 왕조를 상징하는 전통수종 식재 등 역사문화적 요소를 반영한 상징적 수목 조성이 제안된다 또한 국가와 충남이 중점으로 지정한 단절구간에 생태통로를 설치하면 중앙정부의 지원도 가능하므로 적극 활용이 권장된다
비도시 지역의 논습지는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높으며 특히 천안시의 경우 최소 7000ha가 중요보전지역으로 확인된다 이는 대부분 산림 사이에 위치하여 산림생태축의 완충 및 연결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략적 보호와 활용이 필요하다 중요 논습지를 활용한 녹지축 형성은 생태적 연결성과 도시 녹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재원 마련 측면에서는 생태계보전협력금 사유림 매수예산 자연마당조성사업 등 국가 재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공원녹지의 위치를 전략적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예산 확보를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 방향을 반영한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생태계보전협력금은 단절구간 복원 생태통로 설치 핵심보전구간의 토지 매입 등에 사용 가능하며 반환사업 유도를 통한 네트워크 복원도 포함된다 산림청과 국토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과 예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연계하면 천안시의 생태축 확충과 공원녹지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천안시는 생태적 특성과 도시 발전을 함께 고려한 공원녹지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비오톱 재조정 관문 기능 강화 논습지 보호 국가 재원 연계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녹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충남의 관문 역할을 담당하는 천안은 지역의 상징성을 확대할 수 있는 녹화계획이 필요하며 백제 31대 왕조를 상징하는 전통수종 식재 등 역사문화적 요소를 반영한 상징적 수목 조성이 제안된다 또한 국가와 충남이 중점으로 지정한 단절구간에 생태통로를 설치하면 중앙정부의 지원도 가능하므로 적극 활용이 권장된다
비도시 지역의 논습지는 생태계서비스 기능이 높으며 특히 천안시의 경우 최소 7000ha가 중요보전지역으로 확인된다 이는 대부분 산림 사이에 위치하여 산림생태축의 완충 및 연결 기능을 수행하므로 전략적 보호와 활용이 필요하다 중요 논습지를 활용한 녹지축 형성은 생태적 연결성과 도시 녹지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
재원 마련 측면에서는 생태계보전협력금 사유림 매수예산 자연마당조성사업 등 국가 재원을 적극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공원녹지의 위치를 전략적으로 지정하는 방안이 가능하다 예산 확보를 위해 관련 법령과 정책 방향을 반영한 구체적인 사업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생태계보전협력금은 단절구간 복원 생태통로 설치 핵심보전구간의 토지 매입 등에 사용 가능하며 반환사업 유도를 통한 네트워크 복원도 포함된다 산림청과 국토부 환경부 등 관련 부처의 정책과 예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연계하면 천안시의 생태축 확충과 공원녹지 관리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천안시는 생태적 특성과 도시 발전을 함께 고려한 공원녹지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비오톱 재조정 관문 기능 강화 논습지 보호 국가 재원 연계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녹지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
목차
1 황룡지세의 주요 기능성 재고
2 비오톱 재평가 및 등급조정
3 충남의 관문 기능 유도
4 국가적 차원의 생태통로 계획
5 논습지의 완충녹지 기능 활용
6 국가 지원의 적극 활용
2 비오톱 재평가 및 등급조정
3 충남의 관문 기능 유도
4 국가적 차원의 생태통로 계획
5 논습지의 완충녹지 기능 활용
6 국가 지원의 적극 활용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사공정희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제5차 CNI 환경브라운백세미나-충남의 공간계획 및 환경정책 수립을 위한 비오톱지도 활용 사례(사공정희) 2015. 08. 07
습지 전문가 토론회(CNI세미나 2020-017) 2020. 06. 19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문재인 정부의 산림정책 방향 워크숍(CNI세미나2017-142)(이준산,사공정희) 2017. 11. 13
충남 생태관광 활성화를 위한 자원활용 방안 마련 세미나(CNI세미나2019-131) 2019.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