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 도립공원대둔산 칠갑산 덕산의 안내시설물 디자인은 국립공원이나 둘레길에서 사용되는 목재 기반의 구조를 기본으로 하되 도립공원의 규모와 특성을 반영해 통일된 이미지와 기능성을 갖춘 형태로 기획되었다 디자인은 친환경성 편의성 장소부합성의 세 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접근하며 구조물의 재질은 목재와 철재의 결합 방식으로 견고성과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고 설치 위치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크기와 구조를 적용한다
종합안내판 디자인은 두 가지 안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는 목재 중심의 구조로 모듈화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고 두 번째는 철재 구조를 기반으로 한 파노라마 형태로 시야 확보와 내구성을 강조한다 두 디자인 모두 방문객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색상은 중압감을 줄이기 위해 기존보다 밝은 톤으로 변경하거나 정보 전달을 위한 고대비 구성이 적용되었다
소형안내판은 공원 진입부가 아닌 등산로 중간이나 전망지점 등에 설치되므로 경량형으로 설계되었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울어진 지지대 구조가 채택되었다 안내판은 종합안내판과 동일하게 목재형과 철재형 두 가지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시인성과 설치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이는 공원 내 정보 전달 기능을 보완하면서도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이정표는 국립공원과 유사한 형태를 기반으로 하되 도립공원 표지를 상단에 부착하여 차별화하였으며 교차점 이외에도 경로 중간에도 소형 지주식 이정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킨다 재질은 목재와 철재의 혼합이며 팻말은 철재 바탕에 목재 덧대기 방식으로 견고성과 미관을 동시에 확보하였다 글씨는 입체 가공 방식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색상은 고대비를 통해 명확한 시인성을 확보하였다
정상표지석의 경우 대둔산과 칠갑산은 기존 시설이 유지되고 있으나 덕산은 작은 표지석으로 재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재질은 자연석을 사용하며 글씨는 전통 서예체보다 집자형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되었다 포토존 기능을 고려해 사진 촬영에 적합한 규모로 조성되어야 하며 기단은 돌탑 형태로 상징성과 안정감을 함께 제공하도록 기획되었다
전반적으로 본 디자인은 도립공원의 통일된 이미지 구축과 이용자 편의 증진을 목표로 하며 자연친화적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를 기반으로 공원별 특성과 장소성을 반영하였다 이는 충남 도립공원의 관광환경 개선과 방문객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안내판 디자인은 두 가지 안으로 구성되며 첫 번째는 목재 중심의 구조로 모듈화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설계되었고 두 번째는 철재 구조를 기반으로 한 파노라마 형태로 시야 확보와 내구성을 강조한다 두 디자인 모두 방문객에게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며 구조물의 안정성과 시공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계획되었다 색상은 중압감을 줄이기 위해 기존보다 밝은 톤으로 변경하거나 정보 전달을 위한 고대비 구성이 적용되었다
소형안내판은 공원 진입부가 아닌 등산로 중간이나 전망지점 등에 설치되므로 경량형으로 설계되었으며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기 위한 기울어진 지지대 구조가 채택되었다 안내판은 종합안내판과 동일하게 목재형과 철재형 두 가지 디자인으로 구성되며 시인성과 설치 편의성을 동시에 고려하였다 이는 공원 내 정보 전달 기능을 보완하면서도 자연환경과의 조화를 추구하는 방향으로 설계되었다
이정표는 국립공원과 유사한 형태를 기반으로 하되 도립공원 표지를 상단에 부착하여 차별화하였으며 교차점 이외에도 경로 중간에도 소형 지주식 이정표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킨다 재질은 목재와 철재의 혼합이며 팻말은 철재 바탕에 목재 덧대기 방식으로 견고성과 미관을 동시에 확보하였다 글씨는 입체 가공 방식으로 가독성을 높이고 색상은 고대비를 통해 명확한 시인성을 확보하였다
정상표지석의 경우 대둔산과 칠갑산은 기존 시설이 유지되고 있으나 덕산은 작은 표지석으로 재설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재질은 자연석을 사용하며 글씨는 전통 서예체보다 집자형이 바람직하다고 제안되었다 포토존 기능을 고려해 사진 촬영에 적합한 규모로 조성되어야 하며 기단은 돌탑 형태로 상징성과 안정감을 함께 제공하도록 기획되었다
전반적으로 본 디자인은 도립공원의 통일된 이미지 구축과 이용자 편의 증진을 목표로 하며 자연친화적이고 유지관리가 용이한 구조를 기반으로 공원별 특성과 장소성을 반영하였다 이는 충남 도립공원의 관광환경 개선과 방문객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실질적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I 디자인 개요
II 종합안내판 디자인
III 소형안내판 디자인
IV 이정표 디자인
V 정상표지판
II 종합안내판 디자인
III 소형안내판 디자인
IV 이정표 디자인
V 정상표지판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