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신규 야생생물보호구역의 보호 및 관리 방안
현안

신규 야생생물보호구역의 보호 및 관리 방안

기간
2015. 03. 06 ~ 2015. 04. 30
연구책임자
정옥식
키워드
아산시,삽교호,야생생물보호구역,월동조류,서식지 관리,방해요인,먹이자원,질병관리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신규 야생생물보호구역의 보호 및 관리 방안_정옥식_20150630_야생생물보호구역 관리방안(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아산시 삽교호 내 신규 야생생물보호구역은 넓은 농경지와 인접해 있어 월동조류의 주요 서식지로 기능하고 있으며 최대 5만 마리 이상의 조류가 관찰된 바 있다 청둥오리 쇠기러기 등 수면성 조류가 우점종이며 삵 고라니 족제비 등의 포유류와 20여 종의 어류가 함께 서식한다 멸종위기종으로는 흰꼬리수리 큰고니 큰기러기 등이 보고되었으며 이러한 생물다양성은 보호구역 지정의 정당성을 뒷받침한다
그러나 해당 지역은 구조적 다양성이 부족하고 방해요인이 많으며 먹이자원도 제한적이라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깊은 수심 단조로운 가장자리 수생식물 부족 등은 조류의 휴식처 및 먹이터로 부적합하며 잦은 낚시와 어로행위 동력 레포츠 활동 등은 서식지를 불안정하게 만든다 이러한 방해요인은 조류의 에너지 소모를 증가시켜 생존율과 번식률을 저하시킬 수 있다
서식지 개선 방안으로는 다양한 수심 조성과 수생식물대 조성 인공습지 및 하중도 설치 주변 농경지 활용 등이 제시된다 습지 구조의 다양화는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며 인공식재를 통해 먹이자원을 확보하는 것도 효과적이다 방해요인을 줄이기 위해 접근로 차단 은폐식재 및 차단막 설치 낚시와 고소음 활동 금지 등이 필요하다
먹이자원 관리는 수생식물 식재 외에도 폭설이나 결빙기 등에는 곡물 등의 인공 먹이 공급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묵은 쌀 등 대체 먹이자원 확보 방안이 병행되어야 한다 또한 철새의 개체수와 월동기간에 따라 적절한 먹이량 산정과 공급 시점 조절이 필요하다
질병 관리는 서식지의 오염물 개체 상태 환경조건 세 가지 요소에 대한 통합적 접근이 요구되며 납탄 사용 제한 정기적인 모니터링 조류 폐사체의 신속한 처리 등이 핵심이다 조류보틀리즘 등 질병 예방을 위한 메뉴얼 작성과 대응 훈련도 필요하며 안전한 서식 환경 조성을 통해 개체의 면역력 향상도 병행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삽교호 야생생물보호구역은 멸종위기종을 포함한 다양한 생물이 서식하는 중요 생태지역으로 서식지 구조 개선 방해요인 저감 먹이자원 확보 질병 관리 등 통합적인 보호관리방안을 통해 생물다양성 보전과 지속가능한 생태계 유지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목차

Ⅰ 대상지 개요
1 대상지 개요
2 대상지 특성
Ⅱ 야생생물 서식현황
1 월동조류
2 포유류
3 어류
4 멸종위기종
Ⅲ 서식지 현황 및 문제점
1 구조적 다양성 부족
2 높은 방해요인
3 먹이자원 부족
IV 서식지 보호 및 관리방안
1 서식지 관리 방안
2 방해요인 관리 방안
3 먹이자원관리 방안
4 질병관리 방안
V 요약
VI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