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통상지원시책 개선을 위한 FGI 시트작성
현안

충남 통상지원시책 개선을 위한 FGI 시트작성

기간
2015. 04. 15 ~ 2015. 05. 15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충남,통상지원시책,FGI,수출지원,중소기업,수출강소기업,정책개선,수출기반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통상지원시책 개선을 위한 FGI 시트작성_김양중_20160108_수출기업 지원 FGI(현안과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중소 수출기업의 역량 강화를 위해 다양한 통상지원시책을 시행하고 있으며 수출 초보기업부터 중견기업까지 지원 대상을 확대해왔다 주요 사업으로는 해외무역사절단 파견 해외전시회 참가 지원 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맞춤형 시장조사 온라인 마케팅 등이 있으며 기업의 수출 기반을 다지기 위한 통번역 보험 항공료 지원도 병행되고 있다
이에 대한 효과성과 실효성을 검토하기 위해 FGIFocus Group Interview를 실시한 결과 참여 기업들은 대체로 정책에 만족하였으며 수출확대에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출 강소중견기업 육성사업은 유용성 지원인력 행정서비스 부문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으며 사업의 지속성과 확대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반면 지원정책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 전달과 홍보가 부족하다는 지적도 많았다 대부분의 기업이 사업명은 인지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내용이나 신청 경로에 대해서는 모르는 경우가 많아 도 차원의 적극적인 정보 제공 및 홍보 강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또한 일부 기업은 지원비용이 현지 인증 마케팅 등에 비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으며 기업규모나 수출 단계에 따라 차등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었다 지원기간은 대부분 기업들이 5년을 적절하다고 평가했지만 업종별기업별로 탄력적인 적용이 필요하다는 제안도 나왔다
지원자격과 관련해서는 무분별한 완화보다는 현 수준을 유지하거나 경우에 따라 보완하는 선에서의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다수였다 기업들은 실제 수출 의지와 준비된 역량을 기준으로 자격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았다
끝으로 신규 시책에 대한 수요도 존재했으며 특히 물류비 보조 통번역 확대 해외출장비 지원 등이 기업 현장에서 절실히 요구되고 있었다 전반적으로 충남의 통상지원시책은 유효하며 지속 가능성을 갖추고 있으나 정보전달 지원규모 참여 접근성에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목차

I 충남 통상지원시책 소개
1 해외시장 개척 마케팅 지원
2 중소기업 수출기반 조성 및 기업인 사기진작
II 통상지원시책 개선방안 FGI
1 질문의 요지
2 질문소요시간
3 질문지
III 개별 지원사업에 대한 FGI
1 질문의 요지
2 질문소요시간
3 질문지
IV 최종 진단 시트
V 충남 수출기업 FGI 결과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