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본 보고서는 충남 최서단 격렬비열도를 중심으로 한 무인도서의 해양자원화 방안을 모색하고 이를 통해 해양영토 관리와 생태관광 활성화 지역 발전 전략을 제시한다 격렬비열도는 멸종위기종이 서식하는 생태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자연경관이 뛰어나지만 접근성이 낮고 기반시설이 미흡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연구는 안흥항을 거점으로 단계별 자원화 전략을 제시하며 무인도서의 특성을 고려한 활용방안이 중심이 된다
1단계는 안흥항을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 코스 개발에 집중하고 2단계는 궁시도를 중심으로 해양레저 생태체험 등 체류형 관광자원화를 꾀한다 궁시도는 접안이 가능하고 과거 주민 거주 흔적이 남아 있어 거점 도서로의 가능성이 있으며 주변 무인도서와 연계한 꿀단지honey pot 방식 관광 개발이 적합하다 3단계에서는 격렬비열도에 항로표지를 유인화하고 관광객 접근성 제고를 위한 선박운항 및 접안시설 인프라 구축을 제안한다
해양자원화는 생태계 보전과 이용의 균형을 전제로 하며 무인도서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개발이용 가능한 무인도서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격렬비열도는 동서북 섬 모두 보전가치가 높아 보전관리 우선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리 유형에 따라 차등적 개발이 요구된다 동격렬비도는 절대보전 북격렬비도는 특정도서로 관리되며 개발보다는 학술 및 생태적 활용이 적합하다
보고서는 해양영토 관리 차원에서도 격렬비열도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며 백제사신길 등 역사적 의미와 연계해 해상길sea silk road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킨다 이는 관광뿐 아니라 해양주권과 국토 이용 측면에서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는 방안으로도 평가된다 또한 국제사례를 참고하여 일본 중국의 인공섬 및 영해기점 도서 개발과 관리 방식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격렬비열도와 인근 도서는 보전과 이용의 균형 속에서 접근성과 기반시설의 단계적 확충 지역주민과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생태적 가치의 체험형 관광자원화 등을 통해 해양자원의 전략적 활용이 가능하며 이는 충청남도 해양정책의 미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1단계는 안흥항을 중심으로 한 생태관광 코스 개발에 집중하고 2단계는 궁시도를 중심으로 해양레저 생태체험 등 체류형 관광자원화를 꾀한다 궁시도는 접안이 가능하고 과거 주민 거주 흔적이 남아 있어 거점 도서로의 가능성이 있으며 주변 무인도서와 연계한 꿀단지honey pot 방식 관광 개발이 적합하다 3단계에서는 격렬비열도에 항로표지를 유인화하고 관광객 접근성 제고를 위한 선박운항 및 접안시설 인프라 구축을 제안한다
해양자원화는 생태계 보전과 이용의 균형을 전제로 하며 무인도서법 등 관련 법령에 따라 개발이용 가능한 무인도서를 중심으로 추진되어야 한다 특히 격렬비열도는 동서북 섬 모두 보전가치가 높아 보전관리 우선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리 유형에 따라 차등적 개발이 요구된다 동격렬비도는 절대보전 북격렬비도는 특정도서로 관리되며 개발보다는 학술 및 생태적 활용이 적합하다
보고서는 해양영토 관리 차원에서도 격렬비열도의 전략적 가치를 강조하며 백제사신길 등 역사적 의미와 연계해 해상길sea silk road로서의 가치를 부각시킨다 이는 관광뿐 아니라 해양주권과 국토 이용 측면에서 실효적 지배를 강화하는 방안으로도 평가된다 또한 국제사례를 참고하여 일본 중국의 인공섬 및 영해기점 도서 개발과 관리 방식에 대한 시사점도 함께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격렬비열도와 인근 도서는 보전과 이용의 균형 속에서 접근성과 기반시설의 단계적 확충 지역주민과의 협력적 거버넌스 구축 생태적 가치의 체험형 관광자원화 등을 통해 해양자원의 전략적 활용이 가능하며 이는 충청남도 해양정책의 미래 방향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Ⅱ 해양자원 가치 조사
1 도서별 현황
2 지역여건 분석 및 관련 법령
3 해양자원화
Ⅲ 자체개발 해양자원화 방안
1 자체개발 방향과 전략
2 자연환경 활용 해양자원화 방안
3 문제점 및 대책
Ⅳ 해상길 및 거점도서 해양자원화 방안
1 해상길 자원화 방향
2 거점도서 자원화 방향
Ⅴ 영해기점 무인도서 관리
1 영해기점 도서관리 법령
2 향후 무인도서 관리 방향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Ⅱ 해양자원 가치 조사
1 도서별 현황
2 지역여건 분석 및 관련 법령
3 해양자원화
Ⅲ 자체개발 해양자원화 방안
1 자체개발 방향과 전략
2 자연환경 활용 해양자원화 방안
3 문제점 및 대책
Ⅳ 해상길 및 거점도서 해양자원화 방안
1 해상길 자원화 방향
2 거점도서 자원화 방향
Ⅴ 영해기점 무인도서 관리
1 영해기점 도서관리 법령
2 향후 무인도서 관리 방향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정종관
해양환경안전포럼(CNI세미나2017-109)(황운기,이규성,임운혁,이봉길,김도선,정종관) 2017. 09. 15
제5차 충남환경포럼 '전략환경평가의 방향과 과제' (정종관) 2006. 10. 11
허베이스피리트호 서해 유류유출 환경대책 (이인배,안소은,신철오,정종관) 2008. 03. 21
논산시 슬러지 처리시설 설치방안 (정종관,이상진,오혜정) 2007. 04. 24
금강하굿둑 개선방안 모색을 위한 워크숍(정종관) 2014. 02. 05
금강수계 하천,하구 부유쓰레기의 효율적인 처리방안 (정종관) 2008. 09.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