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도민의 응급의료 접근성과 취약지 현황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응급의료 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전체 행정리동 4417개 중 약 734는 30km 이내에 응급의료센터가 있으나 군 지역은 접근성이 상대적으로 낮아 응급상황 시 즉각적인 대응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헬기 인계점은 권역응급의료센터인 단국대 기준 60km 이내에 451만 위치해 있으며 군 지역의 비율은 15에 불과해 열악한 상황이다
구조구급센터의 접근성도 시 지역에 비해 군 지역이 열악한 편이며 5km 이내 접근률은 전체 평균 412에 불과하다 특히 군 지역은 10km 이내 접근률이 38로 응급환자 발생 시 초기 대응 시간이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응급실 이용률 분석에서는 천안시 동남구 서산시 보령시 등의 이용률이 높고 서천군과 금산군은 현저히 낮아 지역 간 의료 이용 격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응급실 외래 이용 비율은 대부분 지역에서 80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입원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이 많음을 의미하며 지역 응급의료기관의 기능 분화와 응급실 이용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청양군과 태안군은 응급실 외래 비율이 99를 넘는 반면 입원율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의료 자원 분포 측면에서 충청남도는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5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13개소 등 총 24개 응급의료시설이 있으며 대부분 도심에 집중되어 있다 농촌 및 도서지역의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설 확대와 함께 소방안전센터 및 헬기 이착륙장 배치 등 병원전단계 인프라 강화가 시급하다
또한 닥터헬리 운영을 통한 이송체계 보완이 필요한 지역이 다수 존재하며 현재 인계점 구축이 미흡한 군 지역에는 중증응급환자 이송 시 심각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헬기 인계점 추가 설치와 도로망 개선 병원과의 연계 강화가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응급의료 인프라가 시 지역에 편중되어 있으며 군 지역의 접근성 및 이송체계가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향후 응급의료시행계획 수립 시 지역 간 균형 있는 자원 배분과 병원전단계 대응력 강화를 통해 도민의 생명권과 건강권 보장을 도모해야 함을 강조한다
구조구급센터의 접근성도 시 지역에 비해 군 지역이 열악한 편이며 5km 이내 접근률은 전체 평균 412에 불과하다 특히 군 지역은 10km 이내 접근률이 38로 응급환자 발생 시 초기 대응 시간이 늦어질 가능성이 크다 응급실 이용률 분석에서는 천안시 동남구 서산시 보령시 등의 이용률이 높고 서천군과 금산군은 현저히 낮아 지역 간 의료 이용 격차가 존재함을 시사한다
응급실 외래 이용 비율은 대부분 지역에서 809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입원율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경증 환자의 응급실 이용이 많음을 의미하며 지역 응급의료기관의 기능 분화와 응급실 이용 교육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특히 청양군과 태안군은 응급실 외래 비율이 99를 넘는 반면 입원율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의료 자원 분포 측면에서 충청남도는 권역응급의료센터 1개소 지역응급의료센터 5개소 지역응급의료기관 13개소 등 총 24개 응급의료시설이 있으며 대부분 도심에 집중되어 있다 농촌 및 도서지역의 응급의료 사각지대 해소를 위해 시설 확대와 함께 소방안전센터 및 헬기 이착륙장 배치 등 병원전단계 인프라 강화가 시급하다
또한 닥터헬리 운영을 통한 이송체계 보완이 필요한 지역이 다수 존재하며 현재 인계점 구축이 미흡한 군 지역에는 중증응급환자 이송 시 심각한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헬기 인계점 추가 설치와 도로망 개선 병원과의 연계 강화가 필수적이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응급의료 인프라가 시 지역에 편중되어 있으며 군 지역의 접근성 및 이송체계가 취약하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향후 응급의료시행계획 수립 시 지역 간 균형 있는 자원 배분과 병원전단계 대응력 강화를 통해 도민의 생명권과 건강권 보장을 도모해야 함을 강조한다
목차
1 응급의료기관 및 센터의 접근성 분석
2 충남지역 구조구급센터 위치 파악 및 접근성 분석
3 헬기인계점 분석
4 시군구별 응급실 이용율 분석
5 기대효과
2 충남지역 구조구급센터 위치 파악 및 접근성 분석
3 헬기인계점 분석
4 시군구별 응급실 이용율 분석
5 기대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