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세미나

세미나

충남복지재단 설립에 따른  타시도 복지재단 벤치마킹을 통한 구축방안 설계
현안

충남복지재단 설립에 따른 타시도 복지재단 벤치마킹을 통한 구축방안 설계

기간
2014. 12. 22 ~ 2015. 03. 31
연구책임자
김용현
키워드
서울복지재단,부산복지개발원,경기복지재단,경북행복재단,대전복지재단,전남복지재단,복지전달체계,복지체감도 향상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복지재단 설립에 따른 타시도 복지재단 벤치마킹을 통한 구축방안 설계_관리자_20160701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복지재단 설립을 위한 벤치마킹 자료로 타 시도의 복지재단 운영사례를 분석하고 충남복지재단 설립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하고 있다 서울 부산 경기 경북 대전 전남 등의 복지재단은 복지정책 연구 복지시설 지원 인력 양성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으며 각 재단은 지역 특성에 따라 중점사업을 달리 운영하고 있다
서울복지재단은 마을지향 복지사업과 자산형성 지원사업으로 주민 참여형 복지 모델을 구축하였고 경기복지재단은 무한돌봄센터 운영을 통해 수요자 중심의 복지체계를 제시하였다 반면 대전복지재단은 복지만두레사업에 과도한 예산을 집중해 본연의 정책연구 기능이 약화되었다는 지적을 받는다 이는 역할 정립과 사업 우선순위의 명확성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타 시도의 사례는 재단의 기능과 역할 설정 예산 확보 민간과의 역할 중복 문제에 대한 사전 검토가 중요함을 보여준다 예컨대 천안시는 복지재단 설립을 추진하였으나 시민 공감 부족과 재원 마련 미비로 인해 난항을 겪었으며 이는 충남도에 절차적 정당성과 재정계획 수립의 중요성을 시사한다
충남복지재단은 싱크탱크 전달체계 지원 복지시설 관리 등 중점기능의 우선순위를 명확히 설정해야 하며 기존 민간기관과의 기능 중복을 피하고 보완적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공공성과 독립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조직구성과 운영체계가 필요하다
또한 재단 설립 전 예산 확보 방안을 구체화하고 설립 이후의 안정적 운영을 위한 자율성과 독립성을 제도적으로 보장해야 한다 인천복지재단의 무산 사례처럼 재정계획 부재는 설립 실패로 이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충남복지재단은 도민 공론화 기능 정립 예산계획 수립 민관협력 구조 확립을 선행과제로 두고 타당성 검토를 통해 실현 가능한 복지 모델을 설계해야 하며 이는 도민의 복지체감도 제고와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Ⅰ 타 시도 복지재단 비교분석
Ⅱ 평가 및 예정시도 동향분석
Ⅲ 기본사업 및 중점 추진사업에 대한 해야할 일
Ⅳ 충남복지재단의 유용성 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