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 에너지 정제/저장시설 입지지역에 대한 지원방안 연구
전략

충청남도 에너지 정제/저장시설 입지지역에 대한 지원방안 연구

기간
2015. 06. 01 ~ 2015. 11. 30
연구책임자
이민정
키워드
에너지 정제,저장시설,대산석유화학단지,지역자원시설세,외부불경제,주변지역 지원제도,특별회계,서산시 조례
다운로드

이민정 전략(7).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대산석유화학단지는 국가경제 기여도가 높음에도 불구하고 지방세 수익은 미미하며 주민은 환경오염과 사고위험에 상시 노출되어 있다 대산5사는 매년 4조 원 이상의 국세를 납부하나 지방세는 약 400억 원으로 1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석유화학시설로 인한 외부불경제를 내부화하기 위해 발전소 등에 적용되는 주변지역 지원제도와 지역자원시설세의 석유류 과세 확대가 제안되었다 이를 통해 주민 수용성을 제고하고 지자체의 재정여건 개선 및 안전관리 부담을 분산할 수 있다
지원방안은 크게 세 가지다 첫째 석유화학시설 인근 지역에 주민복지 소득증대 육영사업 등을 지원하는 주변지역 지원제도 도입 둘째 특정자원분 지역자원시설세를 통한 석유류 과세 확대 셋째 에너지 및 자원사업 특별회계의 지출항목 변경을 통한 지역 지원금 조달이다
일본은 1978년부터 석유저장시설 입지지자체에 교부금을 지급해 지방 재정부담을 줄이고 지역사회 수용성을 확보하고 있으며 시도국가 간 3단계 절차를 통해 사업의 타당성과 예산 투명성을 높이고 있다 충남도도 이와 유사한 체계를 검토할 수 있다
국내 화력발전소는 발전량 기준으로 지역자원시설세를 과세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에는 연간 수백억 원의 지원금이 돌아간다 하지만 석유화학시설은 과세대상에서 제외돼 과세형평성과 지원 사각지대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중과세 논쟁도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대산단지에 대한 과세 및 지원제도 도입은 공정 과세 실현과 지역주민 보호 산업 안정성 제고를 위한 필요조건이며 서산시 조례 제정 도의 정책 개입 특별회계법 개정 등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를 위한 정책논거와 실천방향을 제시한다

목차

I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II 지역자원시설세 신세원 발굴의 논거
1 도입목적의 이론적 고찰
1 외부불경제와 원인자 부담원칙
2 행정비용 보전과 과세형평성 확보
2 선행연구
1 과세확대방안에 대한 연구
2 에너지 저장시설 및 주변지역의 사회적비용 관련연구
1 대산석유화학단지 관련연구
2 기타석유화학단지 관련연구
3 석유화학단지 기업활용 및 지역연계방안
3 사례분석
1 해외사례 일본 석유저장시설입지대책교부금
2 국내사례 기타 신세원 논의사례
3 시사점
III 충남도내 에너지 정제저장시설에 대한 과세방안
1 대산석유화학단지의 산업개요 및 납세현황
1 산업개요
2 납세현황
2 대산석유화학단지에 대한 과세 및 지원책
1 지역자원시설세 과세
2 주변지역 지원제도 도입
3 예상쟁점
I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① 석유저장시설입지대책등 교부금교부 규칙
② 일본 후쿠시마현 석유저장시설입지대책등 교부금교부 요강
③ 일본 후쿠시마현 히로노정 방재행정무선정비사업기금 조례
④ 아이치현 타치시 석유저장시설입지등 교부금기금 설치 및 관리에 관한 조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