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응급의료 접근성 강화 방안
전략

충남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응급의료 접근성 강화 방안

기간
2015. 07. 21 ~ 2015. 12. 31
연구책임자
임준홍
연구자
송두범,윤정미
키워드
응급의료,접근성,충청남도,119구급차,고령자,응급환자,취약지역,응급의료시설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남 도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응급의료 접근성 강화 방안_충남연구원_20160927_임준홍 전략(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의 응급의료서비스는 전국 평균에 비해 기관 수 구급차 수 의료인력 등이 부족한 수준이다 인구 100만 명당 응급의료기관 수는 92개소로 전남22개소 경남133개소보다 낮고 인구 10만 명당 구급차 수 역시 전국 평균에 미치지 못한다 응급환자 중 119 구급차 이용률도 낮아 응급의료체계의 확충이 필요하다
응급환자의 45가 60세 이상 고령자로 고령층이 많은 농촌지역은 특히 응급의료 취약성이 높다 현장도착까지 평균 소요시간이 도시보다 길고 일부 지역은 20분 이내 도달도 어려운 상황이다 응급환자 발생 장소는 주로 가정과 일반도로로 전체의 70를 차지한다
접근성 분석 결과 충남 전체 면적의 약 75는 10분 이내 응급출동이 가능하지만 태안군 안면도 등 일부 해안지역과 내륙 시군 경계지역은 20분 이상 소요돼 취약지대로 분류된다 119 구급차가 출동해 현장에 도착하고 병원으로 이송하는 전 과정에서 골든타임을 넘길 위험이 높은 지역이 여전히 존재한다
응급의료 취약지역 분석은 통계청 집계구 단위의 GIS 공간분석과 위험지수Risk Index를 통해 수행되었으며 응급환자 발생 자료와 응급차 이송시간 의료기관 분포 등을 반영해 시공간적 접근성을 평가했다 고령자 밀집지역일수록 취약지수가 높아 공공 개입의 우선 대상임을 확인했다
정책 제언으로는 첫째 응급의료시설 및 119안전센터 추가 설치의 우선순위를 지역별로 설정하고 둘째 고령자 밀집지역 중심의 응급의료서비스 강화 방안을 마련하며 셋째 구급차 및 응급인력 확대 넷째 응급의료시설과의 연계체계 정비가 제안되었다 응급헬기 운용 확대 이송시간 단축을 위한 도로망 개선도 함께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은 응급의료의 시간적공간적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도민 건강권 보장을 위해 응급의료 인프라 확충과 함께 지역맞춤형 서비스 체계 구축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응급의료 취약지역을 과학적으로 도출하고 정책 우선순위를 제시한 점에서 정책적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대상지역과 분석방법
3 응급의료 취약지역의 개념과 선행연구 검토
Ⅱ 전국과 비교한 충남의 응급의료 현황
1 응급의료 현황
2 충남의 응급의료 현황 및 환자발생 특성
3 지역내 응급실 이용율도착시간 등
4 소결
Ⅲ 응급의료서비스 접근성 분석
1 분석자료와 방법
2 119안전센터구급차 출동 접근성 분석
3 응급의료시설 접근성 분석
4 종합분석
5 소결
Ⅳ 충남 응급환자 발생현황 및 특성분석
1 분석 자료와 방법
2 응급환자 발생현황
3 구급차 현장도착 및 환자 병원이송 시간의 공간적 분포
4 소결
Ⅴ 충남 응급의료서비스 취약지역 분석
1 분석자료 및 방법
2 응급의료 취약지역 도출을 위한 실증분석
3 소결
Ⅵ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참고문헌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