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제3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수탁

제3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15. 03. 23 ~ 2015. 12. 13
연구책임자
정우혁
연구자
김영일,최정호,최무진
키워드
부여군,금강수계,수질오염총량관리,오염부하량,삭감계획,유역환경조사,수질모델링,할당부하량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제3단계 부여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 연구용역_관리자_20160928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부여군은 금강수계 내 금본J 금본K 금본L 유역에 대한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계획 수립 목적은 목표수질 달성과 수질오염원 체계적 관리를 통해 유역의 수질을 개선하는 데 있다 계획기간은 2013년부터 2020년까지다
수계는 금강 본류로 단위유역은 각각의 관리기준에 따라 소유역으로 세분화되었으며 유역별 BODTP 목표수질과 기준유량이 설정되었다 금본J는 BOD 29mgL 금본K는 29mgL 금본L은 35mgL 등으로 계획됐다
오염원은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 등 6개 그룹으로 분류되며 오염원 현황 및 장래 발생량은 자연증감과 개발계획을 반영해 예측됐다 특히 축산계와 비점오염원 비중이 높아 집중 관리가 필요하다
개발사업으로 인한 오염 부하량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각 유역별로 환경기초시설 확충 하수처리시설 개선 비점오염 저감시설 설치 등의 삭감계획이 마련되었다 이에 따른 연차별 삭감목표와 재원조달 계획도 수립됐다
수질모델링을 통해 목표수질 달성 가능성을 검토했고 결과적으로 대부분의 유역에서 계획된 삭감조치가 이행될 경우 목표수질 도달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연차별 BOD 및 TP 할당부하량이 설정되었다
이행관리체계로는 정기적인 오염원 조사 배출 및 삭감 부하량 산정 개발사업 누적관리대장 운영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포함되었다 총량관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이행평가 및 사후관리도 병행 추진될 예정이다

목차

I 시행계획 개요
1 시행계획 수립주체
2 법적근거 및 시행절차
3 시행계획 수립목적 및 범위
4 시행계획 수립 추진경과
5 총량관리 목표
목표수질
부하량 관리목표
6 시행계획 요약
시행계획 대상유역 및 수질현황
오염원 현황 및 전망
오염부하량 현황 및 전망
지역개발계획
삭감계획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및 연차별 할당부하량
개별할당시설 지정현황
삭감이행계획
시행계획 이행관리
II 유역환경 조사
1 유역 구분
시행계획 대상유역 현황
소유역 구분
소유역 점유율
2 수계환경자료 조사
기상조사
수자원조사
하천조사
호소조사
수질조사
유량조사
3 토지이용 지정실태 조사
토지이용 규제 현황
III 오염원 조사 및 전망
1 오염원 조사 및 예측방법
오염원 현황 조사방법
장래 오염원 예측방법
2 개발계획 및 삭감계획 조사방법
개발실적 및 개발계획 조사방법
삭감계획 조사방법
3 오염원 및 개발사업 현황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양식계 매립계 오염원
환경기초시설
4 오염원 전망
오염원 전망 총괄
오염원그룹별 전망
IV 개발삭감계획 조사결과 및 부하량
1 개발계획 조사결과 및 개발부하량
2 삭감계획 조사결과 및 삭감부하량
V 오염부하량 산정
1 오염부하량 총괄
2 자연증감에 따른 오염부하량
3 개발계획에 따른 오염부하량
4 삭감계획에 따른 오염부하량
VI 수질모델링
1 목표수질 및 수질현황
2 수질 모델링
VII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및 연차별 할당부하량
1 총량관리 할당부하량
2 연차별 할당부하량
VIII 삭감 이행계획
1 개별할당시설 지정현황
2 세부삭감이행계획
IX 오염총량관리시행계획 이행관리
1 이행관리체계 구축
2 오염원조사 및 오염부하량 삭감부하량 산정계획
3 할당시설 및 비할당시설의 지정관리계획
4 지역개발사업 사후관리계획
5 오염물질 배출삭감시설 및 목표수질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계획
6 이행평가 계획
부록
1 과거 및 기준년도 3단계 개발계획 목록
2 시행계획 대상 소유역 점유율
[참고] 전산자료 제출양식 용어정리 및 유의사항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