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부여군 농촌테마공원 타당성 검토
수탁

부여군 농촌테마공원 타당성 검토

기간
2015. 12. 08 ~ 2016. 01. 04
연구책임자
임형빈
연구자
신동호,이상준,한상욱,김형철,진선미
키워드
부여군,농촌테마공원,경제적 타당성,체험 프로그램,수변공원 연계,지역소득 증대,문화공원,투자심사제도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부여군 농촌테마공원 타당성 검토_임형빈_20160503_최종본_부여농촌테마공원_.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부여읍과 규암면 경계의 송림공원을 농촌 테마공원으로 개발하여 주민 편익을 높이고 지역 특산물인 밤을 활용한 체험축제 공간으로 조성하는 것이 본 사업의 주된 목적이다 금강 수변공원과의 연계를 통해 지역관광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공원 조성은 20162020년 동안 85억 원을 투입해 32ha 부지에 특산물판매장 상설체험관 초례청 야외무대 산책로 등을 설치하는 계획이며 밤을 주제로 한 프로그램 중심으로 운영된다 지역 주민 참여와 공공기관 주도의 혼합 방식으로 운영을 설계하였다
공간 설계는 농촌스러움과 체험 다양성을 강조해 순환형 동선과 소규모 공간으로 구성되며 기존 수목과 지형을 최대한 보존하는 방식으로 조성된다 주차장과 접근도로도 새로 계획하여 외부 관광객의 접근성을 높이고자 했다
운영계획은 계절별 축제 상설 체험 프로그램 지역주민과 연계한 참여형 콘텐츠를 포함하며 치매예방교육 숲속예식 특산물 오픈마켓 등 다양한 이벤트도 고려되었다 스마트폰 QR코드 안내 시스템 도입도 제안되었다
경제성 분석 결과 연간 약 33만 명의 이용객 유치가 가능하다고 추정되며 편익비용 분석에서 BC 값이 113로 경제적 타당성이 확보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경제 파급효과는 생산유발 70억 원 고용유발 57명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송림공원의 농촌 테마공원 전환은 문화공원 법적 요건을 충족하며 타당성이 인정된다 다만 자연환경 범죄예방 설계 접근성 보완 등의 추가 검토가 필요하며 지역주민 참여 확대를 위한 의사결정기구 운영도 요구된다

목차

Ⅰ 과업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목적
2 과업의 범위
Ⅱ 기본계획 검토
1 기본계획 주요내용
2 검토 결과
Ⅲ 관련 제도 검토
1 지방재정 투융자심사제도
2 예비타당성조사 제도
Ⅳ 사례조사 및 이용객 수요 추정
1 사례조사
2 이용객 수요 추정
Ⅴ 경제적 타당성 및 파급효과분석
1 경제적 타당성 분석
2 지역경제 파급효과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