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변경(안) 수립 연구
정책지원

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변경(안) 수립 연구

기간
2016. 11. 14 ~ 2016. 12. 09
연구책임자
김홍수
연구자
최정호,박상현,조병욱
키워드
가축분뇨,자원화,충청남도,공공처리시설,처리계획,환경관리,법률검토,기상현황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 변경(안) 수립 연구_조병욱_20170202_충청남도 가축분뇨관리 기본계획_변경(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가축분뇨는 축산업 성장과 함께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수질오염 악취 민원 등 환경문제가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충청남도는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자원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처리계획을 수립했다
계획은 가축분뇨 발생량 분석 사육 규모별 처리 현황 수질오염총량제 대응 공공처리시설 및 자원화시설 확충 등을 중심으로 구성된다 처리체계는 공공개별시설 퇴비화액비화 등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된다
가축분뇨의 공공처리시설은 처리 용량이 부족하거나 노후화되어 개선이 필요하며 지역별로 수거 및 운반체계도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시설 증설 신규 설치 민원 대응 계획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운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정보체계 구축도 병행된다
자원화는 액비살포 퇴비유통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며 친환경 농업과 연계한 순환 시스템 구축이 목표로 설정된다 액비 살포 면적의 확보와 유통 협의체 구성 등도 자원화 활성화 방안으로 제시된다
문제점으로는 개별 농가 처리 미비 밀집 지역의 악취수질 문제 행정 일관성 부족 비효율적인 처리 기술 등이 지적되며 이를 개선하기 위한 단계별 과제가 수립되었다 관리체계의 표준화와 전문인력 확충 주민 수용성 제고도 중요 과제로 부각된다
계획은 1단계20172019년 시설 확충 2단계20202022년 체계 고도화 3단계20232025년 자원화 확대 및 운영 안정화로 구분되며 장기적으로는 지속 가능한 가축분뇨 관리 기반 조성을 목표로 한다

목차

제1장 총론
11 계획개요
111 계획의 배경
112 계획의 목적
113 계획의 성격
114 계획수립 절차
12 계획범위
121 공간적 범위
122 시간적 범위
123 내용적 범위
13 계획수립 방법
제2장 일반현황
21 지역개황
211 지역의 연혁
212 지역의 개황
22 기상개황
221 기온
222 강수량
223 습도
224 천기일수
225 풍향 및 풍속
23 유역현황
231 수계현황
232 하천 및 호소현황
233 이수현황
234 하천 및 호소 수질현황
235 수질오염총량관리제
24 토지이용 현황
241 도시계획구역 현황
242 지목별 토지이용현황
제3장 관련법 및 관련계획 검토
31 관련법 검토
32 관련지침규칙 검토
33 관련계획 검토
제4장 가축분뇨 현황
41 가축사육 현황
42 가축분뇨 발생현황
43 가축분뇨 수집운반현황
44 가축분뇨 처리현황
45 가축분뇨처리시설 현황
46 가축분뇨처리상 문제점
제5장 가축분뇨 처리계획
51 가축분뇨 관리방향
52 가축분뇨 관리계획
53 단계별 가축분뇨 발생량 전망
54 가축분뇨 수거운반계획
55 가축분뇨 처리계획
56 가축분뇨 처리체계 구체화
57 가축분뇨 공공처리시설 신규설치
제6장 재활용 등 자원화
61 가축분뇨 자원화 필요성
62 가축분뇨 자원화 방향
63 가축분뇨 자원화의 적정성 분석
64 가축분뇨 자원화의 활성화 방안
제7장 공공시설 운영 및 유지관리
71 개요
72 시설현황 및 문제점
73 개선계획
제8장 정보상시이용체계 구축
81 충청남도 정보 상시이용체계 구축방안
82 시군별 관리체계
83 농업기술센터
84 축산업협동조합
제9장 단계별 중점과제
91 단계별 목표 및 추진계획
92 단계별 세부내용
제10장 재정분야
101 투자계획
102 재원확보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