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우리나라는 지역지구제에 기반하며 국토를 관리하고 있지만 건축자유원칙에 따라 용도지역에 맞으면 기업이 원하는 곳 어디서나 개발이 가능함 그러다보니 도시지역이 아닌 농어촌지역에서 개별적으로 입지하는 도시적 용도의 개발이 지역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경우가 많아졌는데 이러한 현상을 흔히 난개발이라 함
최근 국가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규제를 완화한다는 국정기조는 확고한 상태임 이 시점에서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난개발 문제를 지방정부 차원에서 해결하기는 쉽지 않음
개별입지 공장 난개발을 제어하기 위해 도시계획규제보다는 산업입지정책과 도시계획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공간산업정책이 필요함
이 정책의 핵심은 비도시지역에서 공장 난개발을 최소화하고 개발이익을 지역사회와 공유하도록 하는 제조업 개별입지 관리방안이라 할 수 있음
앞으로 충청남도의 공간산업정책은 산업입지환경을 공공의 이익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잘 조성하고 우리 모두에게 공정한 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함
이를 위해서 개별입지의 부정적 외부효과를 최소화해야 하고 제조업 개별입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해야 함 또한 기업입지의 작동기제를 토대로 계획입지와 개별입지 간에 수요 차이를 최소화해야 함
이후 생략
최근 국가경제 활성화를 위해 기업규제를 완화한다는 국정기조는 확고한 상태임 이 시점에서 지역사회가 안고 있는 난개발 문제를 지방정부 차원에서 해결하기는 쉽지 않음
개별입지 공장 난개발을 제어하기 위해 도시계획규제보다는 산업입지정책과 도시계획을 결합한 새로운 형태의 공간산업정책이 필요함
이 정책의 핵심은 비도시지역에서 공장 난개발을 최소화하고 개발이익을 지역사회와 공유하도록 하는 제조업 개별입지 관리방안이라 할 수 있음
앞으로 충청남도의 공간산업정책은 산업입지환경을 공공의 이익에 위배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잘 조성하고 우리 모두에게 공정한 정책으로 발전시켜야 함
이를 위해서 개별입지의 부정적 외부효과를 최소화해야 하고 제조업 개별입지의 긍정적인 효과를 극대화해야 함 또한 기업입지의 작동기제를 토대로 계획입지와 개별입지 간에 수요 차이를 최소화해야 함
이후 생략
목차
1 개별입지 규제완화와 난개발 우려
2 개별입지 난개발의 형태
3 제조업 개별입지 관리방안
4 결론 및 정책제언
2 개별입지 난개발의 형태
3 제조업 개별입지 관리방안
4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용준
국정과제(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향)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89) (오용준) 2017. 07. 28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6. 05. 12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사람 중심의 도시 만들기』 공동세미나(오용준, 윤두원) 2015. 07. 03
충청권발전특별법(안) 입법추진 관련 1차 워크숍(오용준) 2007. 05.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