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현재 전 세계적으로 미국의 알래스카 주에서 영구배당 형식으로 기본소득제를 실시하고 있고 핀란드 네덜란드 등에서는 이 제도의 도입을 타진하고 있으며 최근 스위스는 국민투표를 실시했으나 부결됨
우리나라에서도 양극화와 빈부격차 해소를 위해 기본소득 도입에 관한 논의가 있지만 특히 농민기본소득 도입이 우선 필요
농업농촌은 개방 농정과 FTA 등 자유무역의 확대로 농가소득과 인구 감소라는 이중의 어려움을 겪고 있음
특히 농가소득보장의 일환으로 실시되고 있는 농업직불제는 대농에게 유리하기 때문에 농민의 대다수인 중소농과 농촌공동체 유지를 위해서는 기본소득 개념의 소득보장제의 도입 필요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충남도 농민기본소득제 시범사업 실시를 위해 다음과 같이 4가지 사항을 제안함
첫째 충남도에서 농민기본소득 시범사업을 실시할 경우 예산과 공간적 경험적 한계가 있기 때문에 우선 몇 개의 일반 마을과 특수마을한계마을 생태보전마을 등을 설정해 시범사업을 실시
둘째 충남도 농민기본소득제 시범실시에 소요되는 예산은 충남도 자체 3농혁신특화사업비 등을 활용해 실시
셋째 시범사업 결과 분석을 통해 정책효과가 분명할 경우 이를 대외적으로 점점 확대
마지막으로 충남도 차원의 농민기본소득제 시범 실시가 단기간 내 실시가 어려울 경우 현재 충남도가 역점 추진 중인 농업직불금 제도 개선사업과 연계 추진
이후 생략
목차
2 농민기본소득 논의 배경 및 필요성
3 농민기본소득제에 대한 심층 인터뷰조사
4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박경철
제1차 충남미래전략연구포럼(박경철,박인성) 2014. 01. 22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2014 한국사회학회-탈추격 시기의 지역개발과 지역혁신 및 세월호 특별집담회(박경철,황혜란,이용숙,이재열,이재은,차명제,홍찬숙,송해룡,최윤경,이영희) 2014. 06. 20
제19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20) (박경철) 2017. 03. 29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