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농자재 및 농자재 지원정책의 개념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음 농자재란 축산업을 포함한 농업 생산단계에서 소요되는 각종 소모성 투입재로서 농산자재인 비료농약농임업용기계종자석유류시설원예자재 축산자재인 사료동물약품동물기자재 등을 말함 농자재 지원정책은 농자재 등 생산단계에서 소모성 투입재를 지원하는 정책으로서 생산요소 보조정책이라고도 함
2014 회계연도 기준 충청남도의 농자재 지원정책 예산은 약 13001600억 원으로 농업농촌 부문 예산의 약 1416를 차지함사업개수는 중앙정부보다 3배 많은 60개 세부사업으로 구성
2014 회계연도 기준 천안시도시 지역와 홍성군농촌 지역의 농자재 지원정책 예산은 각 19억 원 73억 원으로 도시와 농촌 지역 간 약 4배 차이 발생함농업농촌 부문 예산의 약 2와 10 차지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수요를 분석한 결과 100을 기준으로 초과지원분이 282로서 축소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후 생략
2014 회계연도 기준 충청남도의 농자재 지원정책 예산은 약 13001600억 원으로 농업농촌 부문 예산의 약 1416를 차지함사업개수는 중앙정부보다 3배 많은 60개 세부사업으로 구성
2014 회계연도 기준 천안시도시 지역와 홍성군농촌 지역의 농자재 지원정책 예산은 각 19억 원 73억 원으로 도시와 농촌 지역 간 약 4배 차이 발생함농업농촌 부문 예산의 약 2와 10 차지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수요를 분석한 결과 100을 기준으로 초과지원분이 282로서 축소 여지가 있는 것으로 나타남
이후 생략
목차
1 농정예산 구조조정의 필요성
2 농자재 지원정책의 이론적 고찰
3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구조 및 예산분석
4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수요 및 성과분석
5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단계별 개선방안
2 농자재 지원정책의 이론적 고찰
3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구조 및 예산분석
4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수요 및 성과분석
5 충남의 농자재 지원정책 단계별 개선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