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화석연료 사용을 줄여야 할 필요가 커지고 있고화력발전소로 인한 충남 주민들의 환경적 경제적 피해도 늘어나고 있어충남도가 지역 중심의 에너지 전환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함
충남에 밀집해 있는 화력발전소들이 의무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재생에너지를 충남에서 조달할 경우 충남에 형성되는 재생에너지 설비 시장규모 및 생산되는 전력 그리고 재생에너지 인증서 거래 시장의 규모 등을산정함 충남 소재 발전사들의 RPS를 충남에서 우선 충당하도록 한다면 충남에서 2024년까지 9조8784억 원의 재생에너지 설비 시장과 5조6480억 원의 재생에너지 판매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됨
충남에서 재생에너지 의무 공급량을 조달하는 방법을 경제적 사회적환경적으로 검토한 결과 소규모 재생에너지 생산자들의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조달이 가장 지속가능성이 높음
소득분산 효과와 재생에너지 확산 효과가 가장 높은 소규모 재생에너지생산에 도민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RPS 제도와 FIT 제도를 병행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함
이후 생략
충남에 밀집해 있는 화력발전소들이 의무적으로 공급해야 하는 재생에너지를 충남에서 조달할 경우 충남에 형성되는 재생에너지 설비 시장규모 및 생산되는 전력 그리고 재생에너지 인증서 거래 시장의 규모 등을산정함 충남 소재 발전사들의 RPS를 충남에서 우선 충당하도록 한다면 충남에서 2024년까지 9조8784억 원의 재생에너지 설비 시장과 5조6480억 원의 재생에너지 판매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추산됨
충남에서 재생에너지 의무 공급량을 조달하는 방법을 경제적 사회적환경적으로 검토한 결과 소규모 재생에너지 생산자들의 재생에너지 인증서REC 조달이 가장 지속가능성이 높음
소득분산 효과와 재생에너지 확산 효과가 가장 높은 소규모 재생에너지생산에 도민들의 참여를 촉진하고 사회적 환경적 영향을 줄이기 위해RPS 제도와 FIT 제도를 병행해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함
이후 생략
목차
1 충남 에너지 전환의 필요성
2 충남 소재 발전사들의 RPS로 형성되는 재생에너지 시장 규모
3 RPS 조달 방식별 소득분산 효과와 지속가능성
4 소규모 재생에너지 생산 촉진을 위한 제도
5 충남 에너지 전환 정책과제 제안
2 충남 소재 발전사들의 RPS로 형성되는 재생에너지 시장 규모
3 RPS 조달 방식별 소득분산 효과와 지속가능성
4 소규모 재생에너지 생산 촉진을 위한 제도
5 충남 에너지 전환 정책과제 제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황순원
충남의 에너지 전환을 위한 제도 연구 2015. 12. 21
한국환경사회학회 2016년 봄 학술대회(지역 에너지전환의 경로와 과제) 조미성, 타카노 사토시, 진상현 2016. 04. 22
충남의 에너지전환을 위한 에너지 지원조직 설립에 관한 연구 2017. 04. 01
2017 전국 기초단체장 매니페스토 우수사례 경진대회(CNI세미나2017-097) 2017. 08. 09
충남리포트-244호-충청남도 축산 악취 발생 특성 분석 및 정책 방향 2016. 11. 17
-
김은경
연안 및 하구생태복원 관련 워크샵(김은경,전승수,장동호) 2013. 12. 04
열린충남68호 2014. 10. 01
충남의 지역맞춤형 재난안전문화 조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방안 2016. 04. 01
상수도 광역화의 문제점과 지속가능한 상수도 관리방안 연구 2013. 12. 04
물류 신중심권 구현을 위한 충남지역 물류거점 조성 및 활성화 방안 - 당진권을 중심으로 - 2012. 01. 01
지속가능성 평가 도입 방안 연구 -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방안 2012. 01. 01
동일한 유형의 자료
-
-
-
-
-
출판/국내외교육훈련(국내외교육훈련보고서)해외교육훈련-해외 소도읍 개발정책 비교분석, 미국의 중소도시 재생사례 조사, 지속가능한 충청남도 에너지 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2008.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