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충청남도의 축산업 규모는 전국 대비 한육우 1333위 젖소 1882위 돼지 2041위 등 축종별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2015년기준 악취민원 181건 중 122건이 축산 악취 민원으로 약 67의 높은 비중을 차지함
축산 악취는 주변 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축산의이미지 훼손과 부정적 시각을 증가시켜 축산업의 존립문제까지 대두되고있음
축산 악취 관리는 악취 유발자인 축산농가에서 우선적으로 책임 의식을가지고 시작되어야 하며 고비용의 방지시설보다는 저비용의 현장 여건을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모델화하여 확산시켜야 함
축산시설의 현장악취 평가 결과 현장 악취강도는 04도 수준 복합악취희석배수는 321배 수준 22종 지정악취물질은 아세트알데하이드만 제외하고 대부분 불검출 되었으며 악취시간은 012회 악취 노출도는 020111 수준으로 나타남 충남도 축산악취 관리의 기본 전략으로 원인자 책임의 원칙 가용기술의전략적 활용 및 모델화 실태와 성과 평가를 위한 체계적 모니터링 조직제도행정의 선진화 및 협업 및 거버넌스 구축의 기본방향을 바탕으로축산환경 이해관계자들 간의 자발적 협의체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함 단기적 성과도 중요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행정의 협업과 거버넌스 체계를통한 사회학습 지역공동체 회복 등을 목표로 체계적인 축산 악취 저감및 관리가 필요함
이후 생략
축산 악취는 주변 주민들의 삶의 질을 떨어뜨릴 뿐만 아니라 축산의이미지 훼손과 부정적 시각을 증가시켜 축산업의 존립문제까지 대두되고있음
축산 악취 관리는 악취 유발자인 축산농가에서 우선적으로 책임 의식을가지고 시작되어야 하며 고비용의 방지시설보다는 저비용의 현장 여건을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전략적으로 활용하고 모델화하여 확산시켜야 함
축산시설의 현장악취 평가 결과 현장 악취강도는 04도 수준 복합악취희석배수는 321배 수준 22종 지정악취물질은 아세트알데하이드만 제외하고 대부분 불검출 되었으며 악취시간은 012회 악취 노출도는 020111 수준으로 나타남 충남도 축산악취 관리의 기본 전략으로 원인자 책임의 원칙 가용기술의전략적 활용 및 모델화 실태와 성과 평가를 위한 체계적 모니터링 조직제도행정의 선진화 및 협업 및 거버넌스 구축의 기본방향을 바탕으로축산환경 이해관계자들 간의 자발적 협의체를 구축하는 것을 제안함 단기적 성과도 중요하지만 장기적 관점에서 행정의 협업과 거버넌스 체계를통한 사회학습 지역공동체 회복 등을 목표로 체계적인 축산 악취 저감및 관리가 필요함
이후 생략
목차
1 축산 악취 관리의 필요성
2 충청남도 축산 악취 현황
3 축산 악취 정책 및 제도 현황
4 축산 악취 관리방안
5 추진 전략 및 정책 제언
2 충청남도 축산 악취 현황
3 축산 악취 정책 및 제도 현황
4 축산 악취 관리방안
5 추진 전략 및 정책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선태
제4회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 세미나 (김선태, 조영탁) 2016. 08. 12
국회정책토론회 '대기오염 저감과 새로운 전력수급체제 모색' (김선태, 조영탁, 김종배) 2016. 08. 23
제2차 충남현장포럼(김선태,석광훈)_충남 석탄화력발전, 멈춤신호가 필요하다 2016. 06. 30
열린충남76호 2016. 09. 01
2015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_충남 청정지역의 악취 관리 방안(송준익,사재환,이은영,김선태) 2015. 04. 03
충청남도 축산악취개선 정책방향 및 대책수립 연구 2016. 04.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