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보령시 천북수산식품거점단지의 사업지연에 따라 해삼산업의 산업화를 촉진하고자 가공 및 판매 기능을 연계 도입하는 계획이 수립되었다 특히 해삼은 한중 FTA 이후 수출유망 품목으로 성장 잠재력이 크며 중국 내 수요 증가와 온라인 시장 확대로 중장기적으로 가격과 소비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일본은 이미 수직적 일괄시스템을 구축해 중국시장 진출을 시도 중이고 보령은 전국 해삼 어획량 3위임에도 가공기반이 매우 취약해 지역 내 부가가치 창출이 미흡한 상황이다
보령의 해삼산업은 양식은 활발하나 가공업체는 1개소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원물은 타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공과 수출 등 산업화 지원기능을 갖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며 태안 등 인근 지역과 연계하여 지역 내에서 해삼을 가공판매함으로써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RD HACCP 인증시설 마케팅 기능이 포함된 가공단지 조성이 핵심이다
사업은 천북면 장은리에 위치하며 약 661992 규모의 가공시설 연구지원센터 마케팅센터 설치를 골자로 하며 총 사업비는 약 20억 원이다 단계적으로는 초기에는 수협 위탁이나 협동조합 등을 통해 소규모 공동 운영을 실시하고 향후 민간 중심의 대규모 가공업체 집적화를 유도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보령과 태안에서 생산되는 해삼의 90 이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유출 비중을 50 이하로 낮춰 지역 내 가공과 수출로 연결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로써 해삼산업의 수직적 일괄시스템을 실현하고 규모의 경제를 통해 효율성과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다
해삼 가공산업 육성은 지역 어민의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보령의 해삼 양식량 중 절반을 지역에서 가공판매할 경우 연간 90150억 원 규모의 소득 효과가 기대된다 해삼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략 품목으로서 지역 산업구조 다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령시는 가공 중심의 산업화 지원체계를 갖추어 해삼산업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수출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 하며 이를 통해 지역경제 자립기반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보령의 해삼산업은 양식은 활발하나 가공업체는 1개소에 불과하여 대부분의 원물은 타 지역으로 유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공과 수출 등 산업화 지원기능을 갖춘 시스템 구축이 시급하며 태안 등 인근 지역과 연계하여 지역 내에서 해삼을 가공판매함으로써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다 특히 RD HACCP 인증시설 마케팅 기능이 포함된 가공단지 조성이 핵심이다
사업은 천북면 장은리에 위치하며 약 661992 규모의 가공시설 연구지원센터 마케팅센터 설치를 골자로 하며 총 사업비는 약 20억 원이다 단계적으로는 초기에는 수협 위탁이나 협동조합 등을 통해 소규모 공동 운영을 실시하고 향후 민간 중심의 대규모 가공업체 집적화를 유도하는 계획이 포함되어 있다
이 사업을 통해 보령과 태안에서 생산되는 해삼의 90 이상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를 해결하고 유출 비중을 50 이하로 낮춰 지역 내 가공과 수출로 연결되는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것이 목표이다 이로써 해삼산업의 수직적 일괄시스템을 실현하고 규모의 경제를 통해 효율성과 경쟁력을 확보하게 된다
해삼 가공산업 육성은 지역 어민의 소득 증대와 지역경제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으며 보령의 해삼 양식량 중 절반을 지역에서 가공판매할 경우 연간 90150억 원 규모의 소득 효과가 기대된다 해삼산업은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될 수 있는 전략 품목으로서 지역 산업구조 다변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보령시는 가공 중심의 산업화 지원체계를 갖추어 해삼산업의 부가가치를 극대화하고 수출 거점으로서의 입지를 강화하려 하며 이를 통해 지역경제 자립기반을 구축하려는 전략적 접근이 요구되고 있다
목차
Ⅰ 배경 및 필요성
Ⅱ 대내외 여건
1 생산 및 소비동향
2 보령시 해삼산업 여건
3 SWOT 분석
4 향후과제
Ⅲ 연계사업 계획
1 사업개요
2 사업위치 및 사업보완계획
Ⅳ 운영방안 및 기대효과
1 운영방안
2 기대효과
Ⅱ 대내외 여건
1 생산 및 소비동향
2 보령시 해삼산업 여건
3 SWOT 분석
4 향후과제
Ⅲ 연계사업 계획
1 사업개요
2 사업위치 및 사업보완계획
Ⅳ 운영방안 및 기대효과
1 운영방안
2 기대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신동호
전력수급체계 개편방안 국회토론회 (조경두, 신동호, 석광훈) 2016. 12. 13
해양산업연구회 제3차 워크숍-충청남도 해삼산업 육성(강석중,신동호) 2015. 10. 26
공정한 전기요금제 개편방안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78) (신동호,정연제) 2017. 07. 07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충남 노동시장 부문 워크숍-충남 노동시장의 이중구조, 좋은 일자리로'미래 안심'설계(신동호) 2015. 05. 08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