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제2차 충청남도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계획 검토 및 발전방향,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부문
현안

제2차 충청남도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계획 검토 및 발전방향,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부문

기간
2010. 01. 01 ~ 2010. 12. 31
연구책임자
김정연
키워드
농촌주거환경,생활기반시설,교통서비스,정보화마을,정주여건,농어촌도로,민간참여,소생활권정비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제2차 충청남도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본계획 검토 및 발전방향, 농림어업인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부문_관리자_20160919_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농림어업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기초생활 인프라 확충에 중점을 두고 도로 상하수도 교통 주거 정보화 등 다양한 분야의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농어촌 도로 포장률 상수도 및 하수도 보급률이 도시 대비 낮아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고 있으며 교통서비스 또한 운영 효율이 떨어져 교통약자 보호가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광특회계 중심의 포괄보조제도 활용과 자율적 계획 수립 체계를 통해 지역 맞춤형 개발정책을 추진하고자 하였다
주거환경 개선을 위한 사업은 불량주택 개량 빈집 철거 슬레이트 지붕 철거 지원 등이 포함되며 특히 고령영세 농어민을 위한 융자지원이 마련되었다 기존 농촌개발사업과 연계성이 부족하여 종합적 개선 효과가 낮은 점을 극복하기 위해 마을단위 통합개발이 강조되었다 상수도 미보급 지역에는 암반관정 개발과 정수시설 설치 등 생활용수 공급 인프라 구축이 계획되었으며 수질 개선과 주민 건강 증진이 기대된다
교통 부문에서는 농어촌도로 정비 공영버스 지원 내항여객선 운임 보조 등을 통해 교통 편의성을 제고하고자 하였으며 벽지노선 운행 손실 보상과 버스 구입비 지원으로 대중교통 운행 지속성을 확보하였다 이외에도 연안 도서 주민을 위한 여객선 운임 보조로 정주 여건을 개선하고 도시도서 간 교류 확대를 도모하였다 도로 및 교통망 개선을 통해 물류 유통 촉진과 주민 이동권 향상이 주요 목표이다
농촌중심지 개발은 지방소도읍과 거점면소재지를 대상으로 생활 문화 복지 기반을 종합적으로 정비하는 사업으로 지역경제 활성화 및 정주거점 기능 강화를 목표로 한다 중심상권 5일장 문화자원 등을 통합 정비하여 생활편익을 높이고 주민의 이용률과 만족도를 주요 성과지표로 삼았다 소생활권 단위의 종합정비를 통해 마을 간 연계성을 강화하고 희망과 활력을 불어넣는 정주공간을 창출하고자 하였다
정보화 부문에서는 정보화마을 운영 활성화 정보이용 교육 등을 통해 농어민의 정보 접근성을 향상시키고 전자상거래 및 지역경제 활성화를 지원하였다 청년과 여성의 일자리 창출 효과도 고려되었으며 커뮤니티 운영과 콘텐츠 개발이 포함된 정보화 기반 강화 정책이 추진되었다 이는 고령화된 농어촌 주민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고 지속가능한 지역 발전의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종합적으로 본 계획은 자율성과 참여를 강화한 지역주도 개발체계를 통해 정주환경을 개선하고 농어촌의 사회경제적 활력을 제고하고자 하며 각 사업은 실적목표와 성과지표에 따라 평가되고 조정되도록 설계되었다 다양한 분야에 걸친 기초 인프라 확충을 통해 도농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농어촌 삶의 질을 실질적으로 향상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Ⅰ 현황 및 문제점
Ⅱ 정책목표 및 추진전략
Ⅲ 사업계획
1 지역주도의 개발체계 정착 촉진
2 정주계층별 선도거점 개발
3 농어촌 기초생활여건 개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