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대산석유화학단지 주변지역 환경영향조사 실시설계용역 방안 연구
현안

대산석유화학단지 주변지역 환경영향조사 실시설계용역 방안 연구

기간
2016. 05. 23 ~ 2016. 07. 15
연구책임자
명형남
연구자
정옥식,오혜정,여형범
키워드
대산석유화학단지,환경영향조사,대기오염,유해화학물질,주민건강,해양수질,토양오염,제도개선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대산석유화학단지 주변지역 환경영향조사 실시설계용역 방안 연구_명형남_20160811_현안과제성과품(대산석유화학단지)_충남연구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대산석유화학단지 조성 이후 여건 변화에 따른 환경 및 인체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검토하고 환경영향조사 실시설계용역 방안을 제시하고자 수행되었다 대산단지는 1988년 이후 충남 서산시 일대에 조성되어 약 70여 개 석유화학 기업이 입주하고 있으며 해당 지역은 여수 울산과 함께 한국 3대 석유화학단지 중 하나로 성장하였다 하지만 대기오염 악취 건강 피해 등 민원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주민들과의 협의를 바탕으로 환경영향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기환경의 경우 도시대기측정망 자료에 따르면 기준 초과는 줄고 있으나 이산화질소 오존 미세먼지의 농도는 최근 증가하는 추세이다 벤젠 톨루엔 등 휘발성유기화합물VOCs은 기준 이하지만 다른 지역 대비 농도가 높고 NASA 자료에서는 대산이 전 세계적으로 이산화질소 농도가 가장 급격히 증가한 지역으로 나타났다 VOCs는 인근 주거지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서산시는 충남 시군 중 발암물질 대기배출량이 가장 많았다
수질환경은 지하수와 해양 모두 현재는 환경기준을 만족하고 있으나 유류누출로 인한 토양지하수 연계 오염 가능성이 존재하며 장기적으로 공공수역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해양수질은 23등급을 유지하고 있으나 조사 정점에 따라 등급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정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해양생물에 대한 조사는 굴에 국한되어 있어 어류 등 추가 조사가 요구된다
토양환경은 유류 저장시설의 노후화와 관로 부식 등으로 유류 누출 위험이 상존하며 방향족 탄화수소류는 동식물에 매우 유독하여 토양 및 지하수 농작물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이는 먹이사슬을 통해 인체 건강에도 장기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며 토양의 잔류 독성물질에 대한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다
자연환경 및 경관의 변화도 심각하다 산업단지 조성 이후 산림생태계가 훼손되고 해안선이 단순화되었으며 염전농경지 중심의 경관에서 산업 중심으로 변화하였다 환경부와 연구기관의 생태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황산화물 등 가스가 식물 생장을 저해하고 종다양성 감소 등의 생태계 영향을 초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체 건강에 있어서는 휘발성유기화합물과 오존 등이 호흡기 및 심혈관계 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며 특히 벤젠은 백혈병 등 발암 가능성이 높다 조사에 따르면 대산 주민들은 악취 두통 천식 등의 증상을 타 지역보다 더 많이 호소하고 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조사는 환경요인뿐 아니라 건강역학조사와 연계된 다층적 접근이 요구된다

목차

Ⅰ 연구 개요
Ⅱ 대산석유화학단지 현황 및 특성
Ⅲ 대산석유화학단지 주변지역 주요 영향 검토
Ⅳ 결론 및 설계용역 방안 제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