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4.4만세로 및 천의장터 경관디자인요소 개발연구
현안

4.4만세로 및 천의장터 경관디자인요소 개발연구

기간
2016. 05. 24 ~ 2016. 07. 29
연구책임자
이충훈
키워드
4.4만세운동,천의장터,경관디자인,역사문화자원,태극기 모티브,정신적 요소,자연적 이미지,공공시설물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4.4만세로 및 천의장터 경관디자인요소 개발연구_이충훈_20160712_현안과제- 천의장터 경관디자인 요소개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정미면 44만세로와 천의장터는 44만세운동의 역사적 정신을 반영한 경관디자인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과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에서 본 연구가 추진되었다 이 지역은 옥외광고물의 난립과 노후화로 인해 역사적인 이미지가 훼손되고 있으며 무형의 역사문화 자원을 활용한 경관디자인 개선을 통해 지역의 고유한 가로경관을 조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태극기 장터 이미지 자연지형 등을 디자인 모티브로 삼아 지역성 있는 디자인 요소를 개발하였다
디자인 요소는 유형자원으로서 태극기와 장터의 향토적 이미지 무형자원으로서 선비정신청명정신조화정신 등 정신적 가치를 상징하는 키워드 자연자원으로서 산과 들의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키워드는 지역의 역사문화 및 미래지향적 가치를 반영한 너그러운 선과 색채 조화로운 조형미로 표현된다 특히 당진지역 44만세운동의 상징인 남상락의 자수 태극기를 핵심 모티브로 활용하여 지역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경관디자인은 공공시설물과 옥외광고물 등에 적용될 수 있도록 간결하고 절제된 이미지를 바탕으로 조화로운 도시경관을 형성하는 방향으로 구상되었다 지역 건축물의 외부 마감재와 조화되며 도시 아이덴티티에 부합하는 다양한 재질이 통일감 있게 사용될 수 있도록 제안되었고 시간이 지날수록 그 가치가 드러나는 소재 선정이 강조되었다
기본방향은 만세운동을 기억할 수 있는 이미지와 정체성을 경관에 명확히 반영하고 지역 자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건축물의 특성과 조화를 이루는 재료 선택 기능성과 심미성을 모두 고려한 디자인 형식 채택이 제시되었다 경관디자인 대상지의 역사적 문화적 기능적 요소를 최대한 반영한 설계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또한 디자인 요소는 장소 마케팅 전략의 일환으로 지역 차별화를 유도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으며 절제된 아름다움과 간결함을 강조한 디자인을 통해 정미면 천의장터만의 고유한 정체성을 부각시킬 수 있도록 했다 이는 장기적으로 지역의 관광 경쟁력을 강화하고 주민의 자긍심을 높이는 데 기여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미면 44만세로 및 천의장터의 역사적 의미를 현대적 디자인 언어로 재해석함으로써 경관디자인을 통한 지역문화 자원의 보존과 도시 이미지 향상 나아가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도모할 수 있는 실질적 방안을 제시한 것으로 평가된다

목차

Ⅰ 배경 및 목적
1 배경
2 목적
Ⅱ 디자인 기본구상
1 디자인요소 검토
2 디자인 구상요소 도출
3 디자인 모티브
4 디자인 기본형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