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국내외 민속마을 사례로는 일본의 노보리베츠 시대마을 하와이의 폴리네시안 센터 용인 한국민속촌 제주민속촌 등이 있으며 이들은 지역 역사문화와 체험요소를 결합하여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충남 어촌마을은 태안 보령 서천 등을 중심으로 어촌계가 활발히 운영되고 있고 다양한 체험마을도 이미 존재하고 있어 민속마을 조성의 잠재력이 높다
어촌민속마을의 입지는 가로림만 천수만 장항 지역 등이 제안되며 경관 생태자원 접근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선정해야 한다 입지 선정 시 인구잠재력 입지 여건성 문화 기반 대표성 접근성 등을 기준으로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도심과 교외 각각의 장단점을 감안해 운영 방식도 달라져야 한다
공간 구성은 어촌민속박물관 전통가옥 공연장 어촌체험원 숙박 및 휴식 공간 등 다양한 시설로 구성되며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진 콘텐츠를 통해 체류형 관광지를 지향한다 콘텐츠는 생태체험 전통문화 체험 교육 및 예술 활동 등으로 다양화하고 관광객의 니즈에 맞춘 맞춤형 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운영 프로그램은 가족 중심의 체험활동 청소년 대상 교육 외국인을 위한 전통문화 콘텐츠 등으로 구성되며 지역 주민의 참여와 가이드 육성도 병행해야 한다 영화드라마 촬영지 활용 축제 개최 등을 통해 인지도를 높이고 지속가능한 운영 기반을 마련할 수 있다
사업은 3단계로 나누어 촉발 확장 활성화의 순으로 진행되며 국비지방비민간투자를 활용해 총 994억 원 규모로 추진될 계획이다 충남 어촌민속마을은 단순한 관광 개발을 넘어 문화보존 공동체 재생 관광산업 진흥 등 다각적인 효과를 창출하는 미래지향적 사업으로 자리매김할 것이다
목차
1 연구 배경 및 목적
2 연구 내용
II 어촌민속마을의 조성 관련 개념과 사례 분석
1 어촌관광과 민속마을 관련 이론의 검토
2 민속마을 조성 공간계획요소와 프로그램 사례
3 국내 어촌관광 및 민속자원 지정 현황
4 어촌민속마을 조성을 위한 시사점
III 충남 어촌민속마을 조성 관련 자원여건 분석
1 충남 어촌마을의 현황과 특성
2 어촌민속마을 대상지의 검토
3 어촌민속마을 대상지 입지선정 방법
IV 충남 어촌민속마을의 추진방향
1 충남 어촌민속마을의 추진전략
2 공간조성의 구상방향과 도입기능 및 시설요소
3 콘텐츠와 운영프로그램의 제안
4 사업의 추진체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종화
4차산업혁명 대응 충남 해양수산 인프라 구축 토론회(CNI세미나2017-069) (조정희, 김종화) 2017. 06. 21
양봉산업육성을 위한 정책 간담회(이관률,김종화) 2014. 12. 29
양봉산업 육성을 위한 한일정책세미나(카이 사토시,이관률,김종화,타무라 요시히로) 2014. 03.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로컬푸드?6차산업 공동체 연계를 통한 지역 선순환'심포지엄(박찬욱,박근엽,한영미,김원일,한상배,이관률,김종화,타마루요시히로) 2015. 12. 03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
정지은
한국어촌민속마을의 조성을 위한 세미나(CNI세미나2017-060) (박창원, 심창섭, 정지은) 2017. 06. 26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충남의 문화정책 진흥을 위한 세미나(문화예술교육) (CNI세미나2018-029) 2018. 05. 02
복원대상지 수산자원 및 관광활성화를 위한 전문가 워크숍(II) 홍재상, 안명호 2016. 04. 28
충남의 영상 문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세미나(CNI세미나2017-052) (채지영,정인선,최성은) 2017. 06. 23
충청남도 문화서비스 현황 및 확대 방안 2019. 04.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