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계룡시 신도안세동 간 도로개설사업의 경제적 타당성을 검토하기 위해 교통수요예측 편익산정 비용검토를 수행하였다 해당 사업은 총 연장 19km 양방향 4차로 도로로 계룡시와 대전시를 연결하며 개통연도는 2020년으로 설정되었다 교통수요는 개통 시 약 10341대일 2035년 12406대일 2045년 12392대일로 예측되었고 이는 계룡시의 인구 증가와 군 관련 행사로 인한 일시적 통행 증가가 반영된 결과이다
교통편익은 차량운행비용 통행시간 교통사고 및 대기오염비용 절감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으며 2020년 총 1634억 원 2035년 2550억 원 2045년 1673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행시간 절감과 차량운행비용 절감이 주요 편익으로 작용하였다 편익은 2035년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는데 이는 계룡시의 여객 통행량이 2035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는 예측을 반영한 것이다
총사업비는 약 20768억 원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사비 145억 원 부대비 878억 원 용지보상비 3502억 원 예비비 1888억 원이 포함되었다 연차별로는 20172019년까지 분산 투자될 계획이며 유지관리비도 30년간의 추정치를 반영해 경제성 분석에 포함되었다 토지 잔존가치는 용지비의 85를 적용한 2977억 원으로 설정되었다
경제성 분석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은 115 순현재가치NPV는 32억 원 내부수익률IRR은 687로 나타나 본 사업은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석에는 2015년 기준 사회적 할인율 55가 적용되었으며 교통수요 및 편익은 KTDB 자료에 기반하여 추정되었다 다만 인구 증가와 축제 방문객 등의 변수는 과대추정 방지를 위해 미반영되었다
도로 개설은 계룡시 중심지와 대전시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며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통행 여건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군문화축제와 장교임관식 등 대규모 행사 시 통행량 분산 효과를 통해 지역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향후 계룡시의 도시개발 및 주택공급 확대에 따른 인구 증가 대응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신도안세동 도로개설사업은 지역 내 교통여건 개선 사회경제적 편익 창출 중장기적 도시발전 기반 마련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이 높으며 체계적인 투자와 관리로 지역 균형발전과 정주 여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 사업으로 평가된다
교통편익은 차량운행비용 통행시간 교통사고 및 대기오염비용 절감을 기준으로 산정되었으며 2020년 총 1634억 원 2035년 2550억 원 2045년 1673억 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행시간 절감과 차량운행비용 절감이 주요 편익으로 작용하였다 편익은 2035년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하는데 이는 계룡시의 여객 통행량이 2035년 이후 감소세로 전환되는 예측을 반영한 것이다
총사업비는 약 20768억 원으로 분석되었으며 공사비 145억 원 부대비 878억 원 용지보상비 3502억 원 예비비 1888억 원이 포함되었다 연차별로는 20172019년까지 분산 투자될 계획이며 유지관리비도 30년간의 추정치를 반영해 경제성 분석에 포함되었다 토지 잔존가치는 용지비의 85를 적용한 2977억 원으로 설정되었다
경제성 분석 결과 비용 대비 편익BC은 115 순현재가치NPV는 32억 원 내부수익률IRR은 687로 나타나 본 사업은 경제적으로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분석에는 2015년 기준 사회적 할인율 55가 적용되었으며 교통수요 및 편익은 KTDB 자료에 기반하여 추정되었다 다만 인구 증가와 축제 방문객 등의 변수는 과대추정 방지를 위해 미반영되었다
도로 개설은 계룡시 중심지와 대전시를 효과적으로 연결하며 교통 혼잡을 해소하고 통행 여건을 개선하는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군문화축제와 장교임관식 등 대규모 행사 시 통행량 분산 효과를 통해 지역 교통 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향후 계룡시의 도시개발 및 주택공급 확대에 따른 인구 증가 대응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결론적으로 신도안세동 도로개설사업은 지역 내 교통여건 개선 사회경제적 편익 창출 중장기적 도시발전 기반 마련 등 다양한 측면에서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이 높으며 체계적인 투자와 관리로 지역 균형발전과 정주 여건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핵심 인프라 사업으로 평가된다
목차
Ⅰ 개요
1 연구 목적
2 사업개요
3 주요 행사 방문객 및 장래 여건변화
Ⅱ 분석 범위와 방법
1 시간적 범위
2 공간적 범위
3 분석 방법
Ⅲ 교통수요예측
1 분석기초자료
2 교통존 체계
3 사업노선 장래 교통수요예측 결과
Ⅳ 개선효과편익 분석
1 분석의 전제
2 편익 항목별 분석 내용
3 편익산출 결과
Ⅴ 비용 검토
1 사업노선 비용검토 및 보완
2 연차별 투자계획
3 유지관리비 산정
Ⅵ 결론
Ⅶ 참고자료
1 연구 목적
2 사업개요
3 주요 행사 방문객 및 장래 여건변화
Ⅱ 분석 범위와 방법
1 시간적 범위
2 공간적 범위
3 분석 방법
Ⅲ 교통수요예측
1 분석기초자료
2 교통존 체계
3 사업노선 장래 교통수요예측 결과
Ⅳ 개선효과편익 분석
1 분석의 전제
2 편익 항목별 분석 내용
3 편익산출 결과
Ⅴ 비용 검토
1 사업노선 비용검토 및 보완
2 연차별 투자계획
3 유지관리비 산정
Ⅵ 결론
Ⅶ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형철
충남연구원-한국교통연구원 연구교류 공동워크숍(김형철,조종석,천승훈) 2015. 12. 08
충남 교통DB 활성화 방안 전문가 워크숍(김형철,조종석) 2015. 01. 21
충남 교통 물류 네트워크체계 발전방안(김형철) 2015. 06. 26
태안군 발전방안 의정 세미나(CNI세미나2017-121) (이성태,김종화,김형철) 2017. 09. 28
제8차 공공투자연구포럼(이종윤, 김형철) 2015. 08. 27
열린충남75호 2016.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