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충청남도는 전국 석탄화력 발전량의 약 절반을 담당하고 있어 환경오염과 부정적 이미지 문제가 심각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화력발전소의 외관을 개선하고 관광자원으로 활용하여 긍정적인 지역 이미지를 형성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기존 발전소는 보안성과 환경오염으로 접근이 어려워 일반 개방에는 한계가 있으나 색채와 디자인을 개선하고 연계 콘텐츠를 개발하면 인식 전환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폐화력발전소는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가동 중인 발전소도 외관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고 제한적 개방을 통해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연돌 터빈 보일러 등의 구조는 조형화하거나 색채로 분절해 미관을 개선하고 발전소마다 개별 특성과 연계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차별화할 수 있다
충남의 보령 태안 당진 서천 발전소는 모두 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야경 연출 에너지 체험 콘텐츠 신재생에너지 홍보관 등과 연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발전소 시설만으로는 콘텐츠가 부족하므로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와 연계해 홍보 효과를 높이고 어린이 대상 체험형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흥미 요소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외관 개선 방안으로는 백색이나 고명도 청색 계열을 주조색으로 하고 청색 주황색 등을 보조 및 강조색으로 사용하는 색채 계획이 제안된다 또한 발전소 외관의 복잡한 관로 및 설비는 은폐하고 그래픽 디자인 등을 통해 조형미를 더하여 친근한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각 발전소는 신설 시부터 색채 계획을 포함한 경관 설계가 반영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전기가 만드는 빛의 향연과 같은 야간경관 콘텐츠 온배수를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 실내외 복합 전시 공간 등 장소별 특화 전략과 발전소별 연속성 확보를 위한 콘텐츠 구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반영하고 해양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관광 자원으로서 발전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화력발전소는 부정적 이미지를 넘어 산업관광 복합시설로 발전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정돈된 외관 흥미 있는 콘텐츠 지역 연계성 확보를 통해 친환경 산업시설로의 이미지 전환과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꾀할 수 있다
국내외 사례를 통해 폐화력발전소는 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할 수 있음을 확인했으며 가동 중인 발전소도 외관을 친환경적으로 개선하고 제한적 개방을 통해 관광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다 특히 연돌 터빈 보일러 등의 구조는 조형화하거나 색채로 분절해 미관을 개선하고 발전소마다 개별 특성과 연계한 스토리텔링을 적용해 차별화할 수 있다
충남의 보령 태안 당진 서천 발전소는 모두 해안에 위치하고 있어 야경 연출 에너지 체험 콘텐츠 신재생에너지 홍보관 등과 연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발전소 시설만으로는 콘텐츠가 부족하므로 태양광 풍력 등 친환경 에너지 설비와 연계해 홍보 효과를 높이고 어린이 대상 체험형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흥미 요소를 강화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외관 개선 방안으로는 백색이나 고명도 청색 계열을 주조색으로 하고 청색 주황색 등을 보조 및 강조색으로 사용하는 색채 계획이 제안된다 또한 발전소 외관의 복잡한 관로 및 설비는 은폐하고 그래픽 디자인 등을 통해 조형미를 더하여 친근한 이미지로 전환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각 발전소는 신설 시부터 색채 계획을 포함한 경관 설계가 반영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전기가 만드는 빛의 향연과 같은 야간경관 콘텐츠 온배수를 활용한 체험 프로그램 실내외 복합 전시 공간 등 장소별 특화 전략과 발전소별 연속성 확보를 위한 콘텐츠 구성이 강조되었다 이를 통해 지역 정체성을 반영하고 해양관광자원과의 연계를 통해 지속 가능한 관광 자원으로서 발전소를 활용하는 방안이 제시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화력발전소는 부정적 이미지를 넘어 산업관광 복합시설로 발전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으며 정돈된 외관 흥미 있는 콘텐츠 지역 연계성 확보를 통해 친환경 산업시설로의 이미지 전환과 지역 활성화를 동시에 꾀할 수 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연구의 목적 및 내용
Ⅲ 발전소 외관 및 활용 경향
Ⅳ 국내외 발전소 조성 사례
Ⅴ 충남도 화력발전소 실태
Ⅵ 활용 방안
Ⅱ 연구의 목적 및 내용
Ⅲ 발전소 외관 및 활용 경향
Ⅳ 국내외 발전소 조성 사례
Ⅴ 충남도 화력발전소 실태
Ⅵ 활용 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권영현
열린충남48호 2009. 10. 01
열린충남59호 2012. 06. 01
전통시장 활성화 정책 변화와 충남의 대응전략(김영기, 임준홍) 2010. 02. 09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방향 모색 토론회 (맹부영,진영효,허남혁,임형빈,이상준,이민정,김승일,송두범,김민숙,신동호,강석주,윤정미,김명수,권영현,박희석,이관률,최권성) 2012. 09. 12
황새를 활용한 친환경 브랜드 디자인 개발 용역 2010. 07. 02
-
신선하
공주시 문화예술진흥 계획 2020. 04. 01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태안관문가꾸기 기본구상 2015. 05. 14
제3차 충남 보육발전 5개년 계획서 표지 디자인 2015. 12. 01
부여군 국민 디자인 과제 활성화 용역 2018. 05. 14
금산군 인삼약초건강관의 전략적 활용 방안 2024. 09.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