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충남은 농어촌 고령화와 인구감소가 도시보다 심각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자연마을 단위의 공동체 해체와 마을 소멸이 현실화되고 있다 기존 연구는 단순히 인구고령화 중심으로 한계마을을 도출했지만 가구와 주택 특성을 포함한 정밀한 실태 진단이 필요하다는 점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는 2000년 2005년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충남의 자연마을 경계 데이터와 연계해 7개 핵심 변수총가구수 노후주택수 생산가능인구 가임여성비율 고학력자수 독거노인수 1인가구수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통계 핫스팟 분석 중심점 이동 분석 등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과 1인가구는 지속 증가하며 지역 전반에 확산되었고 가임여성과 생산가능인구는 북부지역으로 집중되며 남부지역에서 빠르게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노후주택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했고 고학력 인구는 일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핫스팟 분석에서는 노후주택 밀집지역이 충남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고학력 인구와 생산가능인구는 특정 시군에서 집중도 약화 현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독거노인은 초기 외곽 중심에서 점차 도심 중심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고 가임여성은 아산천안을 제외한 대부분 시군에서 감소하였다
공간패턴 분석에서는 총가구 생산가능인구 1인가구 등이 예산아산 등 북부지역으로 중심 이동을 보였고 노후주택과 독거노인은 청양 등 남부권 중심으로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변수별 표준거리 분석 결과 가임여성과 생산가능인구는 점차 수도권 인접지역에 집중되고 있었다
정책제언으로는 시계열 인구 자료 확보 소지역 경계 정비 민간 데이터 연계 한계마을 전이 가능성 분석 등 데이터 기반 행정 강화가 요구된다 동시에 가임여성 유입정책 균형발전 전략 한계마을 정의 재설정 등 특성 중심의 대응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00년 2005년 2010년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충남의 자연마을 경계 데이터와 연계해 7개 핵심 변수총가구수 노후주택수 생산가능인구 가임여성비율 고학력자수 독거노인수 1인가구수의 시계열 변화를 분석하였다 탐색적 통계 핫스팟 분석 중심점 이동 분석 등을 활용했다
분석 결과 독거노인과 1인가구는 지속 증가하며 지역 전반에 확산되었고 가임여성과 생산가능인구는 북부지역으로 집중되며 남부지역에서 빠르게 감소하는 양상이 나타났다 노후주택은 대부분 지역에서 증가했고 고학력 인구는 일부 지역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핫스팟 분석에서는 노후주택 밀집지역이 충남 전역으로 확산되었고 고학력 인구와 생산가능인구는 특정 시군에서 집중도 약화 현상이 확인되었다 특히 독거노인은 초기 외곽 중심에서 점차 도심 중심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보였고 가임여성은 아산천안을 제외한 대부분 시군에서 감소하였다
공간패턴 분석에서는 총가구 생산가능인구 1인가구 등이 예산아산 등 북부지역으로 중심 이동을 보였고 노후주택과 독거노인은 청양 등 남부권 중심으로 쏠림 현상이 두드러졌다 변수별 표준거리 분석 결과 가임여성과 생산가능인구는 점차 수도권 인접지역에 집중되고 있었다
정책제언으로는 시계열 인구 자료 확보 소지역 경계 정비 민간 데이터 연계 한계마을 전이 가능성 분석 등 데이터 기반 행정 강화가 요구된다 동시에 가임여성 유입정책 균형발전 전략 한계마을 정의 재설정 등 특성 중심의 대응정책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Ⅰ 제1장 연구의 개요
1 연구배경과 목적
1 연구배경과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제2장 선행 연구 및 관련 이론 고찰
1 소지역 연구 고찰
1 소지역의 정의
2 소지역 관련 선행연구 고찰
2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고찰
1 인구주택총조사의 정의
2 인구주택총조사의 특징 및 내용
3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한 선행 연구 고찰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제3장 데이터 선정구축 및 분석방법
1 데이터 선정
1 데이터 선정 방법
2 데이터 변수 도출
2 데이터 구축방법 및 구축
1 소지역 데이터
2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의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구축
3 특성도출 분석방법
1 탐색적 분석
2 시계열 특성 분석
3 Hot Spot 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4 중심점gravity center 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4 정책적 활용방안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Ⅳ 제4장 시계열 현황 분석
1 탐색적 분석
1 선정된 데이터의 탐색적 분석
2 각 변수에 대한 산포도 분석
2 주거환경여건의 시계열 분석
1 총 가구수 변화와 증감율
2 노후주택 가구수 변화
3 주민 역량 및 인구잠재력 시계열 분석
1 가임여성인구 변화
2 교육정도고학력인구 변화
3 생산가능인구 변화
4 소외계층의 시계열 분석
1 독거노인 변화
2 1인가구 변화
5 소결
Ⅴ 제5장 시계열 자료의 특성 분석
1 핫스팟 분석을 통한 특성 분석
1 주거환경여건 부문
2 주민역량 및 인구잠재력 부문
3 소외계층 부문
4 소결
2 중심점 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1 공간패턴분석
2 표준 거리standard distance 분석
3 소결
Ⅵ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
1 연구배경과 목적
1 연구배경과 필요성
2 연구 목적
2 연구범위 및 방법
1 연구 내용
2 연구범위 및 방법
Ⅱ 제2장 선행 연구 및 관련 이론 고찰
1 소지역 연구 고찰
1 소지역의 정의
2 소지역 관련 선행연구 고찰
2 인구주택총조사 자료 고찰
1 인구주택총조사의 정의
2 인구주택총조사의 특징 및 내용
3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활용한 선행 연구 고찰
3 선행연구와의 차별성
Ⅲ 제3장 데이터 선정구축 및 분석방법
1 데이터 선정
1 데이터 선정 방법
2 데이터 변수 도출
2 데이터 구축방법 및 구축
1 소지역 데이터
2 인구주택총조사 자료의 데이터 구축 방법 및 구축
3 특성도출 분석방법
1 탐색적 분석
2 시계열 특성 분석
3 Hot Spot 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4 중심점gravity center 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4 정책적 활용방안을 위한 특성분석 방법
Ⅳ 제4장 시계열 현황 분석
1 탐색적 분석
1 선정된 데이터의 탐색적 분석
2 각 변수에 대한 산포도 분석
2 주거환경여건의 시계열 분석
1 총 가구수 변화와 증감율
2 노후주택 가구수 변화
3 주민 역량 및 인구잠재력 시계열 분석
1 가임여성인구 변화
2 교육정도고학력인구 변화
3 생산가능인구 변화
4 소외계층의 시계열 분석
1 독거노인 변화
2 1인가구 변화
5 소결
Ⅴ 제5장 시계열 자료의 특성 분석
1 핫스팟 분석을 통한 특성 분석
1 주거환경여건 부문
2 주민역량 및 인구잠재력 부문
3 소외계층 부문
4 소결
2 중심점 공간패턴분석을 통한 특성분석
1 공간패턴분석
2 표준 거리standard distance 분석
3 소결
Ⅵ 제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 제언
3 연구의 한계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윤정미
충남 DB 구축 및 활용에 관한 워크숍(김영훈,윤정미) 2015. 01. 09
Global Open Innovation 세미나(이상호,윤정미,조준배,진현석) 2014. 06. 24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45호 2008. 12. 01
열린충남46호 2009. 04. 01
열린충남63호 2013.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