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충남

내용
내포신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해 어린이 교육 및 보육 환경 개선이 핵심 과제로 제시된다 보육과 교육 인프라가 주거지 선택에 중요한 요소인 만큼 인성교육 기반 확충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충남형 인성학습원 모델로 자연놀이뜰이 제안되었고 자연체험놀이가꿈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과 건강안전을 결합한 5가지 테마로 구성된다 도내 5개 권역에 네트워크를 구축해 접근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인성교육 제공을 목표로 한다
아트빌리지 부지를 최적지로 선정해 북쪽은 자연체험 중앙은 자연가꿈 남쪽은 자연놀이로 배치하였고 약 2135억 원의 총사업비가 산정되었다 연간 운영비는 약 18억 원이며 수용인원은 연 10만 명까지 추정된다
정책성과 경제성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500억 원 이상의 생산 유발 277명 취업 유발 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존 공주 인성학습원의 수용 한계로 인해 내포신도시의 추가 수요 충족이 절실한 상황이다
자연체험 기회가 제한된 아동들을 위해 체계적이고 일상적인 자연교육 환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충남 전역의 분산형 확충 전략이 요구된다 공동체 중심의 거버넌스를 통해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어린이의 성장은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 놀이와 자연 속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공공투자가 절실하다 자연놀이뜰은 충남의 교육 철학을 실천하는 공간으로 인성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충남형 인성학습원 모델로 자연놀이뜰이 제안되었고 자연체험놀이가꿈을 중심으로 문화예술과 건강안전을 결합한 5가지 테마로 구성된다 도내 5개 권역에 네트워크를 구축해 접근성을 높이고 지속적인 인성교육 제공을 목표로 한다
아트빌리지 부지를 최적지로 선정해 북쪽은 자연체험 중앙은 자연가꿈 남쪽은 자연놀이로 배치하였고 약 2135억 원의 총사업비가 산정되었다 연간 운영비는 약 18억 원이며 수용인원은 연 10만 명까지 추정된다
정책성과 경제성 분석을 통해 지역경제 파급효과가 500억 원 이상의 생산 유발 277명 취업 유발 등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기존 공주 인성학습원의 수용 한계로 인해 내포신도시의 추가 수요 충족이 절실한 상황이다
자연체험 기회가 제한된 아동들을 위해 체계적이고 일상적인 자연교육 환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충남 전역의 분산형 확충 전략이 요구된다 공동체 중심의 거버넌스를 통해 다양한 주체의 참여와 협력이 필요하다
어린이의 성장은 사회 전체가 함께 책임져야 할 과제로 놀이와 자연 속 배움의 기회를 제공할 공공투자가 절실하다 자연놀이뜰은 충남의 교육 철학을 실천하는 공간으로 인성교육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 기반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다
목차
I 연구의 개요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기대효과
2 연구범위 및 방법
연구범위
연구방법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연구의 흐름
보고서의 구성
II 관련 이론 및 정책 동향
1 관련 이론
어린이 인성교육
어린이 지속가능발전교육
어린이 자연체험교육 및 생태교육
2 정책 동향
관련법과 정책 현황
충청남도 보육 및 어린이교육 현황
관련 시설 현황
3 국내외 사례
국내 사례
국외 사례
4 선행연구
자연체험 관련
자연놀이 관련
자연가꿈 관련
문화예술 관련
안전건강 관련
5 종합 및 시사점
충청남도의 미래 전략 보육과 교육
내포신도시의 지향과 매력
배우고 연대하는 녹색의 힘
III 충남형 인성학습원 조성 방안
1 필요성
충청남도의 인성학습원 고유 브랜드 강화
충청남도의 성장 동력으로서 어린이교육과 보육
인성교육의 가정 학교 사회의 협력 모델 구축
2 비전 및 목표
3 조성 의의 및 역할
아동의 건강 가정의 행복
지역공동체 형성
지속가능하고 좋은 삶
4 구성요소별 조성 방안
내용측면
시설측면
대상측면
운영관리측면
네트워크 측면
5 테마별 조성 방안
자연체험존
자연가꿈존
자연놀이존
공간 규모 종합
6 타당성 분석
IV 전략 및 정책 방향
1 인성학습원 추진 기본 방향
충남형 모델의 거점구축과 확산
5가지 테마의 통합적 접근과 네트워킹
지역 공동체와의 연계 협력
2 추진 전략
지도자와 프로그램 중심의 조성과 운영
양적 지표와 질적 지표를 병행하는 평가지표 개발 적용
프로그램 중심의 시설 조성을 위한 추진 절차 개선
참여적 운영을 위한 운영규정 작성
자연놀이뜰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V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요약
결론
2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한계점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예산안 및 타당성 분석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연구의 필요성
연구의 목적
기대효과
2 연구범위 및 방법
연구범위
연구방법
3 연구의 흐름과 보고서 구성
연구의 흐름
보고서의 구성
II 관련 이론 및 정책 동향
1 관련 이론
어린이 인성교육
어린이 지속가능발전교육
어린이 자연체험교육 및 생태교육
2 정책 동향
관련법과 정책 현황
충청남도 보육 및 어린이교육 현황
관련 시설 현황
3 국내외 사례
국내 사례
국외 사례
4 선행연구
자연체험 관련
자연놀이 관련
자연가꿈 관련
문화예술 관련
안전건강 관련
5 종합 및 시사점
충청남도의 미래 전략 보육과 교육
내포신도시의 지향과 매력
배우고 연대하는 녹색의 힘
III 충남형 인성학습원 조성 방안
1 필요성
충청남도의 인성학습원 고유 브랜드 강화
충청남도의 성장 동력으로서 어린이교육과 보육
인성교육의 가정 학교 사회의 협력 모델 구축
2 비전 및 목표
3 조성 의의 및 역할
아동의 건강 가정의 행복
지역공동체 형성
지속가능하고 좋은 삶
4 구성요소별 조성 방안
내용측면
시설측면
대상측면
운영관리측면
네트워크 측면
5 테마별 조성 방안
자연체험존
자연가꿈존
자연놀이존
공간 규모 종합
6 타당성 분석
IV 전략 및 정책 방향
1 인성학습원 추진 기본 방향
충남형 모델의 거점구축과 확산
5가지 테마의 통합적 접근과 네트워킹
지역 공동체와의 연계 협력
2 추진 전략
지도자와 프로그램 중심의 조성과 운영
양적 지표와 질적 지표를 병행하는 평가지표 개발 적용
프로그램 중심의 시설 조성을 위한 추진 절차 개선
참여적 운영을 위한 운영규정 작성
자연놀이뜰의 효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
V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요약
결론
2 본 연구의 한계 및 향후 과제
한계점
향후 과제
참고문헌
부록 예산안 및 타당성 분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재영
충남연구원-공주대학교 공동학술대회 및 지역리더 포럼(지수걸, 유정규, 김종수, 이재영) 2015. 06. 03
열린충남13호 1998. 09. 01
2017 충남환경회의(CNI세미나2017-150)(이지언,여형범,오동훈,이상진,박재현,이재영,유연숙,장수찬,한재각,김정수,홍수열,정종관) 2017. 11. 17
충청권 공동발전 전략 (육동일,소진광,서정해,원광희,강영주,이재영) 2007. 04. 19
충남리포트-(제266호) 미래세대를 위한 충남형 인성학습원 조성 방안 2017. 07.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