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서해안 김황백화 관리를 위한 하수종말처리장 활용방안 연구
정책지원

서해안 김황백화 관리를 위한 하수종말처리장 활용방안 연구

기간
2017. 03. 20 ~ 2017. 04. 30
연구책임자
신우석
연구자
윤종주,윤영관
키워드
김,황백화,영양염류,방류수,하수종말처리장,충청남도,계절별운전,간척지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서해안 김황백화 관리를 위한 하수종말처리장 활용방안 연구_신우석_20171026_정책지원_김황백화_신우석_최종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 연안은 방조제간척 등 인위적 개발로 육상과 해양 간 물질순환이 단절되었고 이는 연안 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주며 김 황백화 발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질소와 인 성분이 부족한 상태에서 김 양식장의 생산량 감소 및 색상 변질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김 황백화는 주로 겨울철에 발생하며 충남을 포함한 서남해안 일대에서 20102011년 사이 큰 피해를 유발했다 당시 충남은 5만 책 이상 피해를 입었고 이는 DIN용존 무기질소 농도 저하와 관련이 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존 대응책으로는 시비제인공 비료 살포가 있으나 경제적 부담과 환경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어 대체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따라 하수종말처리장의 방류수를 활용한 영양염류 공급이 실현 가능한 대안으로 제안되었다
서천 등지의 하수처리장에서 방류되는 질소인 성분이 김 양식장에 활용될 수 있도록 계절별 운영 방안이 마련되었으며 겨울철에는 질소 농도를 조절해 농도를 높이는 운전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일본 사례에서는 법적 기준 하에 방류수 질소인의 농도를 조절해 활용하고 있다
운영 방안에는 질화탈질 제어 약품 조정 DO 농도 조절 등이 포함되며 실험적 적용을 거쳐 본격적인 시스템 전환이 필요하다는 절차도 명시되어 있다 하수처리장의 방류수는 시비제 사용을 줄이고 경제적환경적으로 유리한 수단이 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하수종말처리장 방류수를 통한 김 양식장 영양염류 보급은 충남 연안의 생태 회복과 어민 피해 최소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적 제도화와 기술적 뒷받침이 필요하다 장기적으로는 지속가능한 연안관리 전략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 실천적 방안이다

목차

1장 서론
1 연구배경 및 필요성
2 연구범위 및 방법
3 연구내용 및 방법
2장 충청남도 연안 환경변화 특성
1 충청남도 연안 환경의 주요 환경변화
11 해안선의 변화
12 매립간척 등에 의한 연안유역 환경변화
2 충청남도 연안 수질영양염류 변화
21 물질순환 제한
22 수질 변화 추이
3 방조제 및 하굿둑 건설의 문제점
3장 충청남도 김 황백화 현황 분석
1 김 생육 환경인자
11 김 생활사
12 환경인자
2 김 양식 현황
3 김 황백화 원인 및 기작
4 김 황백화 피해 현황
5 김 황백화 대책방법
4장 기초 환경시설을 활용한 김 황백화 제어
1 하수종말처리장 현황
2 계절별 운전 방법
3 질소 및 인 제거 운전 방안
4 계절별 운영 이점
5 해양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5장 계절별 운전운영안 도입 절차
1 도입 절차 및 고려사항
2 시설 개선
3 시험운전
4 본 운전
6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