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자산형성지원사업(희망키움I, 내일키움)가입대상자 만족도 조사 및 대상자 발굴방안
현안

자산형성지원사업(희망키움I, 내일키움)가입대상자 만족도 조사 및 대상자 발굴방안

기간
2016. 03. 01 ~ 2016. 08. 31
연구책임자
김용현
키워드
희망키움통장,내일키움통장,자산형성지원,만족도 조사,경제자립,저소득층,재정적 자립,충남연구원
다운로드

[홈페이지원문공개]자산형성지원사업(희망키움I, 내일키움)가입대상자 만족도 조사 및 대상자 발굴방안__20170816_[홈페이지원문공개]희망키움 통장_김용현_20170103_@20160809자산형성지원사업설문분석(완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자산형성지원사업은 저소득층의 자립을 돕기 위한 제도로 희망키움통장과 내일키움통장 등의 형태로 운영되며 현금 지원 외에 저축을 통한 자산 축적을 유도한다 본 연구는 충남지역 참여자를 대상으로 만족도와 사업 효과를 조사하여 제도의 실질적인 영향을 파악하고자 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대부분은 자산형성지원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특히 741가 재정적 자립을 희망했고 808는 저축에 도움이 된다고 응답했다 사업의 전반적 만족도는 633 삶에 도움이 되었다는 응답은 613로 나타나 긍정적인 영향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그러나 사업 종료 후 저축을 지속하겠다는 응답자는 108에 불과했고 609는 저축하지 않을 것이라 답해 저축 습관 형성에는 한계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경제적 생활의 향상이 예상된다는 응답은 30에 불과해 실질적 자립 효과에는 제한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응답자 중 절반 이상은 탈수급 이후 미래에 대한 스트레스를 느낀다고 하였으며 자산형성지원사업 이후에도 삶에 대한 자신감과 주도성이 향상되었다는 응답은 절반 수준에 그쳤다 이는 사업이 일시적인 지원은 가능하나 지속적인 자립 기반을 제공하기엔 미흡함을 의미한다
응답자들은 매칭금 확대 사업기간 연장 조건 완화 탈수급 이후 보호기간 연장 증빙서류 간소화 등 다양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자산형성사업과 주거창업 지원의 연계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특히 금융교육과 역량 강화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종합적으로 자산형성지원사업은 단기적으로 저소득층의 저축과 재정적 자립 의지를 높이는 데 기여했지만 장기적이고 실질적인 자립 효과는 제한적이었다 향후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지원금 확대 연계 사업 개발 사후 관리 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설문지 구성
3 조사대상 및 방법
Ⅱ 분석결과
1 인식 및 인지도
2 만족도 및 삶의 변화
3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4 응답자의 가구 특성
Ⅲ 결론
Ⅳ 설문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